earticle

논문검색

『極樂莊嚴經』의 五種莊嚴과 穢土의 淨土化

원문정보

The five categories of the magnificence of Sukhāvatīvyūha-sūtra and the developing of the Pure Land in this sahālokadhātu world

『극락장엄경』의 오종장엄과 예토의 정토화

최봉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at is the thought of the Pure Land?”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questions that any buddhist scholar can ask. there are many superficial answers to it, but few are satisfactory. We can always change our views of the Land, because of not having experienced the Pure Land itself and now being in the world of Sahalokadhātu This study is seeking the true meaning of the thought of the Land from the another angle, which means to look for the answer how we could change this real world to the Land at the same time seeking the real meaning of the thought. We seems to find an answer from the Sukhāvatīvyūha-sūtra. There are 5 categories of magnificence : the 11th, 12th, 13th and 14th among total 47th paragraphs of the Sūtra, explain the magnificence of Amitābhā Buddha and the 16th, 17th, 18th, 21st, 22nd and 23rd explain the magnificence of the Pure Land and the 19th, 20th, 24th, and 33rd explain the magnificence of the people and the 32nd explains the magnificence of the Bodhi-tree, and the 34th, 35th, 36th and 37th explain the magnificence of the Bodhisattva. Such 5 categories advocate a part that the future society should have more interested in and the cultural value that the part is already related to. The first, the magnificence of Amitābhā Buddha is related to the culture of the Pure Land for the "leader" in the fields of composing the future society. the second, the magnificence of the Pure Land is related to the culture of the Pure Land for "this territory (kṣetra) itself", the magnificence of the people to "the citizens of the future society" as a 3rd, the magnificence of the Bodhi-tree to "the future religions" as a 4th, the magnificence of the Bodhisattva to "the future leaders' group" as a 5th. if we could apply the idea of the Sūtra to the real world, this world would be the land that resembles the Pure Land. That would be one another true meaning of the thought of the Pure Land.

한국어

정토 사상이란 무엇인가’하는 질문은 모든 불교학자들이 던질 수 있는 질문 가운데 가장 근본적인 질문 중 하나이다. 그에 대한 많은 답이 있지만 사실 그리 만족스럽지 못하다. 우리는 정토 자체를 경험하지 못했기에, 그리고 예토에 살고 있기에, 정토에 대한 견해가 늘 바뀔 수 있는 것이다. 우리는 정토 사상의 진정한 의미를 조금 다른 각도에서 찾고자 한다. 곧 우리가 사는 현실 세계를 어떻게 하면 조금이라도 정토처럼 만들 수 있을까에 대한 해답을 찾으면서, 정토 사상의 참된 의미를 함께 찾고자 한다. 우리는 그 해답을 대표적인 정토부 경전인 범본 󰡔극락장엄경󰡕에서 찾은 듯하다. 󰡔극락장엄경󰡕을 보면 모두 다섯 가지 장엄이 설해진다고 정리할 수 있다. 총 47단 중 제11, 12, 13, 14단은 ‘미타 장엄(彌陀莊嚴)’을 보여 주고, 제16, 17, 18, 21, 22, 23단은 ‘극락장엄(極樂莊嚴)’, 제19, 20, 24, 33단은 ‘유정 장엄(有情莊嚴)’, 제32단은 ‘보리수 장엄(菩提樹莊嚴)’, 그리고 제34, 35, 36, 37단은 ‘보살 장엄(菩薩莊嚴)’을 보여 준다. 바로 이 다섯 장엄이 각각 미래 사회가 관심을 기울여야 할 분야와 그 분야의 문화적 가치를 이미 잘 표방하고 있다. 첫째, 미타장엄은 미래사회를 구성하는 분야 중에서 “지도자”를 위한 정토문화를 담고 있고, 둘째, 극락장엄은 “국토”를 위한 정토문화, 셋째, 유정 장엄은 “국민”을 위한 정토문화, 넷째, 보리수 장엄은 “종교” 그 자체를 위한 정토문화, 그리고 다섯째 보살장엄은 미래 사회의 여론 선도층과 같은 “리딩 그룹”을 위한 정토문화를 잘 보여준다. 그러한 󰡔극락장엄경󰡕의 아이디어를 우리의 현실 세계에 적용할 수만 있다면, 이 세계는 정토를 닮은 세계가 될 것이다. 그것이 바로 정토 사상의 또 하나의 진정한 의미가 아닌가 한다.

목차

들어가는글
 I. 정토문화의 정립
 II. 지도자의 덕목과 미타장엄
 III. 국토의 미래와 극락장엄
 IV. 국리 민복과 유정 장엄
 V. 종교의 도량과 보리수장엄
 VI. 지도층의 덕목과 보살장엄
 맺는글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최봉수 Choi, Bong-Soo. 철학박사l 불교학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