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3

默照禅의 깨침에 대한 구조와 그 내용

원문정보

The structures & contents of enlightenment in Silent - Penetration Zen

김호귀, 김호성

한국정토학회 정토학연구 제12권 2009.12 pp.151-19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standpoint of Silent - Penetration Zen(黙照禪) is the Self - awakening of the Original - realization. Realization of the Silent - Penetrative Zen comes when each principles faces the same position. In that manner, the training structure of the Silent - Penetration Zen tells us the Self - consciousness of From - realization and, the priority is directly focused on the world of being spiritually awakened, namely, the world of Buddha. Because it is the Self - consciousness of From - realization, there are no distinction between the way to lead for realization and self - discipline. The methods are Sitting - poster(坐禪),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 Realization and Un - thought(非思量). Sitting - poster is sitting with crossed leg, but it means not only body but also mind poster.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 - realization is self - awareness that From not a new thing with One`s mind, but From get all enlightenments are ready. So all enlightenments are actualization and operation. Un - thought is not thoughtless. It exactly Un - thought on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The highlight of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is devoting to Un - thought throughly. Thus Un - thought has a characteristic on the assumption of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Un - thought in a Buddhist meditation doesn't mean that it has no Thought. On the contrary, it has a meaning as thought of Un(非), thought of Elimination, and thought of Not - contamination(不染汚). That's exactly thought of the Silence - Penetration.

한국어

선의 궁극적인 목적은 깨침이다. 그만큼 올바른 깨침은 필연적으로 지혜를 수반한다. 그래서 곧 선은 지혜의 터득을 목표로 한다는 말이기도 하다. 그 올바른 지혜에는 늘상 자비가 함께 한다. 때문에 깨침은 자비로 드러나야 하고 자비는 깨침에 근거해야 한다. 그 자비의 터득은 바른 수행으로부터 가능하다. 바른 수행은 일상을 떠나 있을 수가 없다. 그것을 가장 잘 드러낸 가르침이 소위 祖師禪이었다. 조사선은 일체중생이 本來成佛이라는 개념에 기초하여 그것을 일상의 삶에서 실천하는 가르침이다. 때문에 현실은 늘상 진리의 모습으로 존재해야 한다. 그것을 黙照禪에서는 現成公案이라 한다. 현성공안은 本證自覺의 일상화이다. 그리고 그 본증자각은 반드시 只管打坐의 실천을 통해서 구현된다. 이와 같은 현성공안이 자신에게서 지금 당장 실천되고 있는 것이 곧 身心脫落이다. 따라서 묵조선으 깨침은 本覺에 근거한 究竟覺의 자각이다. 이것이야말로 간화선과 묵조선이 당나라 시대의 순순했던 조사선의 가풍을 회복하려는 움직임이기도 하다.

목차

Ⅰ. 本來成佛과 默照禪의 출현
  1. 本來成佛과 祖師禪
  2. 默照禪의 출현
 Ⅱ. 깨침의 구조 - 坐禪
  1. 宏智正覺과 默照禪
  2. 只管打坐 - 跏趺坐의 수행
 Ⅲ. 깨침의 내용 - 自覺
  1. 本證妙修 - 本來成佛의 深信
  2. 本證自覺 - 本來佛의 현성
  3. 非思量 - 自覺의 존재방식
 Ⅳ. 결어
 【국문요약】
 【Abstract】
 【참고문헌】
 논평문

저자정보

  • 김호귀 Kim, Ho-gui.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
  • 김호성 동국대 서울캠퍼스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