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念佛에 내재한 禪的要因에 대한 一考

원문정보

The Study of the Contemplative(Seon) Aspect Immanent in the Buddhist Invocation

염불에 내재한 선적요인에 대한 일고

정광균(법상)

한국정토학회 정토학연구 제11권 2008.12 pp.423-46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Buddhist practice is divided into two general categories. One is the faith in the Pure Land practice, and the other the meditation practice with self-effort. These two different ways have their own peculiarity yet share identical and corresponding features between the two.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former is to gain enlightenment by relying on Amitabha's vow and compassion. That of the latter is that Zen practice helps to accomplish its goal, that is, enlightenment by putting one's own effort into it. The Pure Land practice and Seon are thought to be identical and corresponding in that the purpose and process of these two are reciprocal although the ways of practice are different. For this reason, Pure Land and Zen are considered to share the ultimate sameness. This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has been proven by several Chinese and Korean Zen masters from Corea and Joseon Dynasties, such as YoungMyung YeonSoo(永明延壽) and SeoSan HyuChung(西山休靜) respectively. For example, a Chinese master GyungBong JongMil(圭峰宗密) organized the practice of the Buddhist invocation into four different types. As proven, the meditative factor included in the practice of the invocation shows that meditation(Seon) and invocations work together according to the complementary principle and therefore share the ultimate consentience. The study of immanent Seon`s factor in Buddhist invocation

한국어

불교의 수행은 일반적으로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하나는 종교적 믿음에 의한 정토수행이며, 다른 하나는 自力的 禪修行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행은 특이성과 동질성, 그리고 일치성을 갖는다. 특이성이란 염불은 아미타불의 本願力과 자비에 의존하여 왕생하여 不退轉에 이르러 성불하는 것이고, 선은 현세에서 자력으로 수행하여 깨달음을 완성하여 성불하는 것이다. 그리고 정토와 선의 동질성이란 그 수행방법은 달라도 목적이나 과정에 있어서도 상보적인 입장에 있다. 그래서 정토와 선 은 궁극적으로 일치성을 갖는다. 이러한 정토와 선의 관계는 중국의 여러 선사와 한국의 고려와 조선대의 선사들에 의해서 입증되고 있다. 몇 명의 선사를 제외하고, 특히 중국의 永明延壽와 조선의 西山休靜에 의해서 입증되고 있다. 또한 圭峰宗密은 염불의 실천면에서 四種念佛로 정리하였다. 그러므로 이러한 염불의 실천에 내재한 선적요인은 수행과정에서 상보적이며 궁극적으로 일치성을 갖는다고 하겠다.

목차

Ⅰ. 緖言
 Ⅱ. 念佛에 내재한 禪的要因
  1. 念佛과 禪의 전제조건
  2. 念佛에 내재한 禪的要因
 Ⅲ. 念佛의 실천에 내재한 禪
  1. 稱名念佛의 禪的要因
  2. 觀相念佛의 禪的要因
  3. 實相念佛의 禪的要因
 Ⅲ. 結語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광균(법상) Jung Kwang-kyun(Bup-sang). 동국대 선학과 박사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