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as explained above, discusses the philosophy of Esoteric Buddhism with the text titled BoRiSyimLon(菩提心論) that holds the absolute position in Esoteric Buddhism. It also contemplates what principles the esoteric practitioners based on to advocate the Esoteric Buddhist practice called JeukSynSeongBool(卽身成佛), which adorned Indian Buddhism at its end. In addition, what kinds of the realistic practices for its realization were developed is investigated. The Chapter 1 'the Main Principles of JeukSynSeongBool(卽身成佛)' studies the principles of JeukSynSeongBool(卽身成佛) based on the fundamental standpoint of Esoteric Buddhism(法身說法, 卽事而眞, 三密瑜伽). The Chapter 2 'the Theory of the Esoteric Practice in BoRiSyimLon(菩提心論)' contemplates the peculiar Esoteric practice SamMaJi(三摩地修行法) developed based on the principles presented in Chapter 1. That is, the chapter presents the extracts of the essence of DaeYilGyung(大日經)과 GeumGangJeongGyung(金剛頂經) and looks into WalLyunGwan(月輪觀), AhJaGwan(阿字觀), and OhSangSeongShinGwan(五相成身觀) which is SamMyilYuGaHaengBup(三密瑜伽行法). As a result, Esoteric Buddhism is recognized to teach JoongGwanSaSang(中觀思想) that shows 'YilCheBupMooJaSeongGong(一切法無自性空)'. It developed the principles of Alaya consiousness(識) taught in YuSyik(唯識) sect that presents the idea “the present self is the result of my past karma done by my body, speech, and behaviour. The present self is the cause of my future self.” Esoteric Buddhism also succeeded YeoLaeJangSaSang(如來藏思想) teaching “JaSeongCheongJeongGaekJinBunNoi(自性淸淨客塵煩惱)” and developed this into the peculiar practice only to Esoteric Buddhism such as the SamMaJi practice(三摩地修行法), which based itself on SamMyilYuGa(三密瑜伽) including WalLyunGwan(月輪觀), Sixteen DaeBoSalSooHaengGwan(十六大菩薩修行觀), AhJaGwan(阿字觀), WoSangSeongSyinGwan(五相成身觀). Esoteric Buddhism teaches that through these practices, one can realize the true self is BonLaeBool(本來佛) and is always pure as AhJa(阿字), WolLewnand(月輪) lotus(蓮花) and the bright and pure light(光明) is the very “JaSyinBoolSiDaeYilYeoRae(自身卽是大日如來)”. The study of Esoteric Buddhism through this article confirms that one should realize the fact that a self is not an ignorant being, but originally a Buddha, and could live life with that awakening as a Buddha, not an ignorant being. This shows that Esoteric Buddhism is a teaching that has been developed into the philosophy of realistic practice[行動哲學(行證)] built on top of BonGakSaSang(本覺思想).
한국어
본고는 위의 설명처럼 밀교사상을 논함에 있어 절대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菩提心論』을 중심으로, 인도불교의 마지막을 장식한 밀교행자들의 修行論, 곧 卽身成佛을 부르짖으며 출범한 밀교가 어떤 原理下에 즉신성불을 主唱했으며, 또 그것의 實現을 위해 어떠한 수행법을 개발했는지 들을 고찰한 것이다. 곧 제1장 <卽身成佛의 原理>에서는 밀교의 키워드인 卽身成佛의 原理를 法身說法, 卽事而眞, 三密瑜伽라는 밀교의 기본입장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제2장 <『菩提心論』』이 설하는 밀교의 修行論>에서는 이들 원리에 입각하여 개발된 밀교 독특의 수행법인 三摩地修行法, 곧 양부밀교경전인 『大日經』과 『金剛頂經』 중에서 핵심만을 뽑아 그곳에서 설하고 있는 三密瑜伽行法인 月輪觀, 阿字觀, 五相成身觀 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밀교는 “一切法無自性空”을 설하는 中觀思想과 “과거의 나의 身口意 三業行爲는 현재의 나 자신을 만들어 낸 장본인(增上果)이며, 또 현재의 나의 三業行爲는 미래의 나를 만들어 내는 動力因(能作因)”이 된다는 唯識의 Ālaya識 理論, 그리고 “自性淸淨客塵煩惱”를 설하는 如來藏思想을 계승 발전시켜, 밀교만이 가지는 독특한 修行法인 三摩地修行法, 곧 三密瑜伽를 기본으로 하는 行法들, 말하자면 月輪觀, 十六大菩薩修行觀, 阿字觀, 五相成身觀 등을 새로이 개발한 후, 그 修行法을 통해 나 自身의 實相은 本來佛, 곧 나의 本來의 心身은 阿字와 月輪과 蓮花와 같이 언제나 自心淸淨하며 맑고 밝은 光明 바로 그것인 “自身卽是大日如來”임을 如實하게 知見케 하여, 나는 본시 중생이 아닌 五智 具足의 佛바로 그것임을 확실히 體得케 함과 동시(信解), 나아가서는 일상생활 속에서 중생이 아닌 佛로서 살아가도록 하는 소위 本覺思想에 입각한 高度의 行動哲學(行證)으로 발전시킨 가르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1. 密敎의 등장
2. 密敎(秘密佛敎)란?
Ⅱ. 卽身成佛의 原理
1. 密敎의 基本立場
Ⅲ. 『菩提心論』이 설하는 밀교의 수행론
1. 밀교에서의『菩提心論』의 위치
2.『菩提心論』에서의 菩提心의 定義
3. 密敎의 具體的行法인 菩提心三相
Ⅳ. 結語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논평
키워드
- 보제심론. 즉신성불. 법신설법. 자신즉시대일여래. 즉사이진. 삼밀유가행. 십육대보살. 월륜관. 오상성신관. 아자관. 삼마지보제심
- BoRiSyimLon(菩提心論)
- JeukSynSeongBool(卽身成佛)
- BupSyinSeolBup(法身說法)
- JaSyinBoolSiDaeYilYeoRae(自身卽是大日如來)
- JeukSaYiJin(卽事而眞)
- SamMyilYuGaHaeng(三密瑜伽行)
- Sixteen DaeBoSal(十六大菩薩)
- WalLyunGwan(月輪觀)
- WoSangSeongSyinGwan(五相成身觀)
- AhJaGwan(阿字觀)
- 菩提心論. 卽身成佛. 法身說法. 自身卽是大日如來. 卽事而眞. 三密瑜伽行. 十六大菩薩. 月輪觀. 五相成身觀. 阿字觀. 三摩地菩提心
- 三摩地菩提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