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Anti-Japanese Movement of Jeju Beobjungsa broke out at Dosoonri in Jeju on December 7 in 1918. The Anti-Japanese movement was staged by some Buddhist monks such as Kim Yeon-il, Kang Chang-gyu and Bang Dong-hwa and about 700 local folks to the purpose of recovering national sovereignty.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n the Jeju Beobjeongsa movement by tracing not only its preparation and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for the movement but also the activities and achievements of the leading power all throughout the movement. Japan, however, tried to diminish and distort the meaning of the resistance movement into "a rabble-rousing instigated by around 300 to 400 pretended devotees." Seeing the fact that Beobjungsa Buddhist monks induced about 700 local folks' participation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a careful prearranged plan, we can easily perceive the Japanese intention to diminish the meaning of this Anti-Japanese movement. The newly discovered documentary records made this study possible. This study is also based on preserved documents in National Registration Agency, words of mouth from the bereaved families, and materials in their possession.
한국어
제주 법정사 항일운동은 국권회복을 목적으로 내세워 1918년 법정사에서 주지 김연일의 지휘 아래 지역 주민 700여명이 함께 일으킨 항일독립운동이다. 그간 일제의 의도적인 왜곡에 의해 보천교의 난으로 폄하되었던 법정사 항일운동에 대해 기존 연구와 달리 새롭게 밝혀진 내용을 정리하였다. 법정사 항일운동은 국권회복을 기치로 내건 독립운동이었다. 그러나 일제는 거사로부터 시일이 멀어질수록 참여주민의 숫자를 700명에서 3백여 명으로 축소시켰고, 불교도들이 참여하였다는 처음의 기록은 점차 사교도들의 난리로 기록하였다. 법정사 항일운동이 보천교의 난으로 왜곡된 것은 바로 일제가 항일운동의 의미를 축소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폄하한 것이었다. 이후 법정사 항일운동에 대한 시각은 보천교의 난으로 고정되어, 법정사 항일운동에 대한 연구를 모두 이러한 시각과 연관되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기존 연구의 법정사 항일운동의 날짜와 주도 세력에 대한 오해 등이 여기서 비롯된 것이었다. 법정사 항일운동은 1918년 10월 7일에 일어났으며, 700여명의 주민이 동참하였다. 일제 경찰에 체포되어 형사사건부에 이름을 남기고 있는 사람들은 85%가 법정사 인근 마을인 좌면 출신 주민들이었다. 주도세력들은 법정사에 모이기 이전에 이미 승려로 출가한 사람들이 주가 되었으며, 이들이 법정사에 모여 거사를 준비하였다. 법정사에 모인 신도들에게 거사의 뜻을 알리고 주변에 동참을 권유하면서 주민들의 참여가 이루어진 것이었다. 이에 참여한 주민들도 자신들이 참여한 거사가 일본인을 몰아내려 한다는 것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있음도 살펴보았다. 법정사 항일운동은 이제 국권회복을 목적으로 하여 700여 주민들이 참여한 항일운동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되었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Ⅱ. 1918년 제주 법정사 항일운동의 목적
Ⅲ. 일제의 제주 법정사 항일운동에 대한 왜곡
1. 참여자 수의 왜곡
2. 거사 목적의 왜곡
Ⅳ. 제주 법정사 항일운동에 대한 새로운 인식
1. 거사 날짜에 대한 오해
2. 박주석에 대한 새로운 연구
3. 제주 법정사 항일운동 주도세력의 성격
V. 맺는 말
Abstract
참고문헌
키워드
- 김연일
- 박주석
- 강창규
- 보천교의 난
- 선도교
- 국권회복
- 700여명 좌면 주민의 참여
- 의병활동
- 거짓 주소
- 주도세력의 인물간 관계
- The Anti-Japanese Movement of Jeju Beobjung Temple 700 local folks' participation Kim Yeon-il Kang Chang-gyu Bang Dong-hwa Park Ju-seok Jungmun Police chekpoint The crime of uproar and violation of security law The emperor Bulmu The uproar of Bocheongy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