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元曉의 불교대중화 일고

원문정보

A Study of Wonhyo's Popularization of Buddhism

원영만(정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aving recognized officially at the early period of 6th century, Silla's Buddhism took an active role in various social fields and then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Thanks to such an affirmative role in social development, Silla's Buddhism came to be called National Buddhism or Nation Protection Buddhism. In this context, the era of Wonhyo is really regarded as the time when Buddhism created the most brilliant Buddhist culture after Silla's having unified the Three Kingdoms. In the period of Silla Kingdom, Silla's Buddhism had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Early Sill's Buddhism had a tendency to takes on aristocratic Buddhism based on the Royal family. However, at the period of Wonhyo, Buddhism got to spread widely even to the populace and so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gradually made process. Furthermore, during this period, it is significant that there was a great development in Buddhism studies through deep study on a variety of scriptures brought by student monks studying in China. Actually, we tend to regulate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as one which targets at only common people in terms of social class. If so, it seems that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should be defined according to class or poor and low status. But the Buddha's teaching never discriminate human beings but embraces all beings. Consequently,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is to build Buddha Land, to emphasize the socialization or popularization of Buddhism. Hence, in this paper I tried to discuss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in the perspective of the socialization of Buddhism whether it is aristocratic or common. Moreover, another my topic is "What does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in Silla's society suggest us today?" In this essay, I attempted to examine that it is to attain enlightenment through wisdom and merit and virtue increased by genuine Boddhisattva's practice with an ascetic's genuine initial spiritual awakening, with lay people's genuine reflection on real welfare, and with an ascetic and laity's genuine Boddhisattva's practice and great vows as one disciple of the Buddha. In the nebulous and uneasy society, it seems that Wonhyo's universal "Hwajaengsasang" ("Synthetic Philosophy") is the very “Hwadu”(Koan) that delivers Korean Buddhist society getting faced with difficulties domestic and abroad.

한국어

6세기 초 공인된 신라의 불교는 사회의 여러 방면에 긍정적 역할을 하며 국가적으로 전개되었다. 사회 발전에 긍정적 역할을 한 것을 역사적으로 國家佛敎 護國佛敎 등으로 불리게 된다. 그 가운데에서도 원효시대는 신라가 삼국간의 전쟁을 승리로 이끌면서 불교사회 또한 가장 화려한 불교문화를 이룩한 시기이다. 당시 신라불교사회는 특징이 있다. 초기 신라불교는 왕실중심의 귀족불교이었던 것이 원효시대는 일반 민중에까지 널리 전파되는 불교의 대중화가 진행되었으며, 중국 유학승 등을 통해 들려오는 다양한 경전의 진의를 깊이 연구하여 불교학의 크나큰 진흥을 보게 되었다 할 수 있다. 불교대중화를 사회계급상 서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만이 불교대중화라고 규정하고 있다. 만일 그렇다면 불교대중화의 정의가 계급과 빈천에 의해 명명된다고 해야 한다. 그러나 석존의 가르침은 결코 그렇지 않다. 곧 불교대중화란 불교를 통한 불국정토, 즉 불교의 사회화를 말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본고는 귀족중심이 되었든, 가항중심이 되었든 불교의 사회화라는 관점에서 이를 접근하여 살펴보았다. 그런데 신라사회의 불교대중화가 현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시사하는 점은 무엇인가. 출가자에게는 출가 시 진정한 初發心時의 마음으로, 재가자에게는 참다운 福利의 의미를 다시 되돌아보는, 출가․재가자가 모두 하나 된 불제자로서 진정한 보살행을 疑情으로 삼는 동시에 참된 보살행을 실천하므로 증장되는 지혜와 복덕을 통해 불도를 증득하자는 것이 아닐까. 원효의 보편적 화쟁사상은 바로 대내외적으로 겪고 있는 오늘의 우리 불교계에 던져주는 화두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언
 Ⅱ. 신라불교의 초기 성향
  1. 국가․사회관
  2. 圓光의 불교대중화
  3. 戒壇을 통한 慈藏의 대중화
 Ⅲ. 불교적 대중화 : 街巷佛敎의 전개
  1. 街巷佛敎의 태동
  2. 街巷佛敎의 선구자
 Ⅳ. 元曉의 불교 대중화 완성
  1. 실천이념
  2. 행적
 Ⅴ. 결어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원영만(정산) Won Young-man(Jeong-san). 동국대 박사과정 수료. 서울 정릉 경국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