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기 부적응도식과 만성적 지연행동간의 관계 : 경로모형 탐색과 검증

원문정보

임성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본 연구는 만성적 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발달적 선행변인으로 Young의 초기 부적응도식을 주목하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초기 부적응도식과 만성적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작용하는 매개변인을 확인한 다음, 초기 부적응 도식 → 매개변인 → 만성적 지연행동의 경로모형을 탐색적으로 구안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만성적 지연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네 개의 초기 부적응도식 중에 어떤 도식이 본 연구에서 설정한 매개변인인 권태민감, 성취추구 완벽주의, 실패공포, 자기 효능감 각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 결과와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4개의 매개변인별로 초기 부적응도식과 지연행동 간의 경로모형이 설정되었고 이 모형들은 모형수정지수를 사용하여 수정되었다. 다음으로, 수정된 4개 매개변인별 모형을 포괄하는 통합모형이 설정되었고 이 통합모형은 모형수정지수를 사용하여 수정되었다. 최종적으로, 수정된 통합모형은 다른 표집을 사용하여 교차타당화 및 대안모형과 비교 검증되었다. 그 결과 본 연구의 수정된 통합모형은 자료와 부합하며 간명한 모형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한 지연행동척도(GP)로 측정한 최종모형은 17개의 경로를 갖는 모형으로 지연행동 전체변량의 37.5%를 설명하였으며, 다른 한 지연행동척도(AIP)로 측정한 최종모형은 16개의 경로를 갖는 모형으로 지연행동 전체변량의 26%를 설명하였다.

목차

< 요약 >
 1. 서론
  초기 부적응도식과 지연행동
  감각추구, 실패공포, 완벽주의, 자기효능감과 지연행동
  초기 부적응도식과 감각추구, 실패공포, 완벽주의, 자기효능감
  연구문제
 2. 방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분석방법
 3. 결과
  매개변인별 경로모형 탐색
  통합 경로모형 탐색
  통합 경로모형의 교차타당화 검증
  대안모형과의 비교 검증
 4. 논의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임성문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