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ccupational safety & health system in Korea
피인용수 : 0건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afety & health can not be accomplished by only one side's effort of labor and management. To establish high level of occupational safety & health system, we have to recognize the extent of participance and need to study about how to keep the labor-management cooperation in good condi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better suggestions such as how to improve the labor-management cooperation and how to establish the efficient occupational safety & health law through studying the labor-management cooperation system in the occupational safety & health.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2. 연구 절차 및 방법
2.1 자료수집 방법
2.2 표본의 구성
2.3 설문지 구성
3. 연구 분석 및 결과
3.1 신뢰성 검증
3.2 노사참여활동에 대한 중요도
3.3 노사참여활동에 대한 순수행도
3.4 노사참여활동에 대한 가중치 수행도
3.5 사용자와 근로자간의 평균 비교 : T-검정
3.6 연령, 근무년수, 종업원수, 업종에 따른 평균 비교 : AN0VA(분산분석)
4. 결론
5. 참고문헌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2. 연구 절차 및 방법
2.1 자료수집 방법
2.2 표본의 구성
2.3 설문지 구성
3. 연구 분석 및 결과
3.1 신뢰성 검증
3.2 노사참여활동에 대한 중요도
3.3 노사참여활동에 대한 순수행도
3.4 노사참여활동에 대한 가중치 수행도
3.5 사용자와 근로자간의 평균 비교 : T-검정
3.6 연령, 근무년수, 종업원수, 업종에 따른 평균 비교 : AN0VA(분산분석)
4. 결론
5. 참고문헌
저자정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김병석․성호경․남재수 “산업안전보건 현장실무”, 형설출판사, 2000.
- 2박두용, “우리나라 산업안전보건 정책과 행정에 대한 이해당사자의 제도적․실질적 참여에 대한 평가 및 제고방안”, 산업안전보건정책평가 심포지움 Ⅱ, 2000.
- 3윤조덕, 김은희, 박태순, “중소사업장 산업안전 보건 실태 및 정책 개선방향”, 한국 노동연구원, 2000
- 4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제도 및 재해예방 활동”, 2000.
- 5홍세길, “참여적 작업시스템이 근로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2004
- 6protection in china's transition industrial economy",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2003.
- 7Hideyasu Aoyama, "Worker's Participation i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in Japan", Vol. 121, Iss. 2, P207, 1982.
- 8HSE, “Working together : Guidance on health and safety for contractors and suppliers”, Health and Safety Executive,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