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의 지역응급의료 참여기관간 파트너십 실증분석

초록

한국어

지역응급의료 참여기관간 파트너십 실증분석을 위하여 실무자를 대상으로 하여 지역응급의료 재난관리공동체 형성요인과 지역응급의료체계의 효과성 간의 회귀분석 결과, 참여 요인, 계획요인, 통합 요인, 협력기반요인이 지역응급의료체계의 효과성에 정(+)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지역응급의료체계의 효과성에 참여 요인(b: 0.250, β: 0.248)이 가장 큰 정(+)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다음으로 계획 요인(b:0.224, β: 0.218), 통합 요인(b: 0.201, β: 0.207), 협력기반 요인(b: 0.167, β: 0.149)의 순으로 정(+)의 영향력을 각각 미치고 있었다. 반면에 자원 요인과 상황 요인은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지 않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 되었다. 이는 각종 재난발생시 응급의료 활동을 펼치는데 있어서 소방 자원의 한계로 인하여 많은 민간 및 NGO 기관들의 참여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근무기관에 따른 인식 차이 분석을 위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근무기관에 따라 협력기반, 자원, 상황, 계획, 통합, 참여 및 지역응급의료체계 효과성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건소와 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응답자에 비해 소방과 민간(NGO)에 근무하고 있는 응답자들이 보다 공동체 형성요인 및 응급의료체계의 효과성 인식에 긍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실제 재난발생시에 파트너십에 의한 공동체를 형성하는 주관기관이 소방으로서 소방의 주축으로 많은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소방에 근무하는 응답자들은 상대적으로 공동체 형성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보건소와 병원에 근무하는 응답자의 경우에는 대형 재난이 아닌 대부분의 사건 사고의 경우 소방과 민간(NGO)에 의해서 구조 및 구급이 이루어진 환자를 이송 후에 병원에서 치료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유관 기관과 협력할 기회가 적기 때문인 것으로 예측된다.

목차

국문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1. 지역응급의료 의의
  2. 재난발생시 지역응급의료체계
  3. 재난관리에 있어 지역응급의료의 영향 요인과 연구의 필요성
 Ⅲ. 조사설계
  1. 가설설정
  2. 개념의 조작적 정의
  3. 설문지 구성 및 표본설정
  4.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1. 지역응급의료체계 참여기관 간 파트너십 실증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유호 충북대학교 국가위기관리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