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토석류 유발 특성인자 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 경사, 하천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Study on Analyzing Characteristics Which Causes a Debris Flow - Focusing on the Relation with Slope and River -

전계원, 오채연, 전병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ecause of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 typhoon and other factors by the changes in climate, there have been slope failures, landslides and debris flows, which caused huge economic loss and human victims. Especially, because the most area of Gangwon province is composed of the steep sope mountains, the damages by the debris flow or landsliding are more frequent and frequency has been inreeased. To analyze the cause of such soil disaster, research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is in process recently.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of the region where debris flow occurs, we analyzed the image before and after the occurrence of debris flow in Mt.Gari, Inje-Gun, Gangwon-do. By this analyzing, we extracted disaster zone and digitized it. Using digital map, we also formed DEM, extracted targeted basin, collected and analyzed spatial data to conduct hydrological and geopolitical analysis by debris flow-occurrencing areas. We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considering slope and distance from river as well. As a result, the mean slope of initiation was 29°, the mean slope of transport was 23° and the mean slope of deposition was 12°among the characteristics causing debris flow. Analysis about Butter Zone which composed along river valleys showed that 79 of 114 points where debris flow and landslide occur are in the Buffer Zone which includes river.

한국어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인한 집중호우, 태풍 등에 의해 사면이 붕괴되거나 산사태, 토석류에 의해 막대한 경제적 손실과 인명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강원도지역의 경우 대부분이 급경사의 산악지로 구성되어 있어 산사태나 토석류의 피해가 커지고 횟수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토사재해의 특성과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최근 GIS 및 원격탐사를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 발생유역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강원도 인제군 가리산지역의 토석류 발생 전후 영상을 분석하여 재해 발생지역을 추출하고 디지타이징 하였고 토석류 발생영영별 수문학적, 지형학적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DEM생성, 대상유역 추출 및 공간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또한 토석류 발생영역별 경사 및 하천과의 거리등을 고려한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토석류 발생 특성 인자 중 발생부의 평균경사는 29°, 유하부의 평균경사는 23°, 퇴적부의 평균경사는 12°로 분석되었으며 하천유역을 따라 형성된 Buffer Zone 분석결과에서는 토석류와 산사태 발생 포인트 114개중 79개가 하천이 포함된 Buffer Zone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차

요약
 Ⅰ.서론
 Ⅱ. 이론분석
 Ⅲ. 연구지역 및 방법
 Ⅳ. 분석 및 고찰
  1. 토석류 발생 영역분석
  2. 토석류와 하천의 상관관계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전계원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에서 부교수
  • 오채연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박사과정
  • 전병희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 소방방재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