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ocial Capital of Disaster Response Activity for Fire Service Organization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ocial capital analysis for effcient disaster response of fire service organizations. By putting together with social capital and related theory and analyzing the private social capital for disaster response can draw the implications. The study analyze the social capital in disaster response phase through the two cases. The breakdown of Sampoong Department Store in 1995 and the conflagration of Daegu Subway in 2003.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disaster responses by making up social capital such as trust, network, reciprocity, and participation between the disaster-response officials of fire service organizations and other public sectors like police, military, and municipality. Also, constructing social capital between fire-fighting and private organizations is considered to be the scheme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responses in future. Not only bridging fire service organizations with public sectors and linking them with private sectors, but also constructing social capital betwee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outside fire-fighting ones are considered possible to be the important factor.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소방조직 재난대응 활동의 효과성 증대를 위한 사회적 자본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재난대응활동에 있어 어떠한 영향관계를 미치는지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따라서 재난관리와 사회적 자본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사례를 통한 사회적 자본의 형성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례분석을 하였다. 재난대응 활동에는 경찰, 소방, 민간단체 등 다양한 기관이 참여하여 대응활동을 전개하게 되며, 재난대응단계에서는 다양한 기관들이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응활동을 하게 된다. 각기 다른 기관들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야 하기 때문에 일원화된 지휘체계, 명확한 역할분담 및 협력체계 확립, 정보의 공유 등이 제대로 구성되어 있지 않는다면 재난발생 현장에는 혼란이 가중될 것이며, 그로 인한 피해는 국민들의 피해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재난대응 활동을 하는 다양한 기관들 사이의 신뢰형성정도, 네트워크구축 정도, 호혜성 및 참여 등을 구성요소로 하는 사회적 자본의 형성수준이 재난대응활동의 효과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목차
Ⅰ. 서론
Ⅱ. 재난대응활동에 있어 사회적 자본
1. 재난관리와 사회적 자본의 관계
2. 재난관리와 사회적 자본에 관한 선행연구
Ⅲ. 사례분석
1.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2. 대구지하철 화재사고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