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Information Diffusion structure of Korean Disaster Security Network : Social network analysis with Netminer
초록
영어
Communication, intercession, collaboration are efficient disaster administration's point. KDSN(Korean Disaster Security Network) intends network structural order that achieve disaster management function through social network between various participation subjects as well as relation between government for efficient confrontation of disaster. This study tried social network analysis, and deduced the wave and following intent about network architecture of Korean disaster Information's network by examining KDSN's network attribute, network binding, centrality, cohesion.
한국어
재난관리에 있어 재난관련 기관의 원활한 의사소통, 조정, 협력 등은 효율적 재난관리의 핵심이다. 한국재난안전네트워크(KDSN)는 재난의 효율적 대응을 위한 정부 간 관계뿐만 아니라 다양한 참여 주체들 간의 사회적 연결망을 통해 재난관리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체제를 지향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재난안전네트워크(KDSN)의 네트워크 속성, 네트워크 결속, 중앙성(centrality), 결집집단(cohesion) 등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재난안전네트워크의 네트워크 구조에 대해 분석을 시도하였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향후 재난방지를 위해서 각 기관들이 최대한 협력 및 네트워크 관계의 매개자로서의 역할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소방방재청이 구조적 위치 및 타 기관과의 연계성이 높다는 점에서 한국재난안전네트워크와 소방방재청을 양대 중심(head)으로 하는 방재시스템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부문집단(Clique)이나 커뮤니티(Community) 등 작은 차원의 집단 간 결속력을 증대시키면서 중앙에 위치한 한국재난안전네트워크나 소방방재청과의 유기적인 관계를 맺는다면 거대한 방재네트워크가 유연하면서도 강력한 관계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이론적 검토
1. 재난안전관리의 특성
2. 재난안전관리에 있어 정부 간 관계와 민관협력 네트워크
3. 한국재난안전네트워크(KDSN: Korean Disaster Security Network)
4. 사회연결망분석 방법론
Ⅲ. 연구설계
1. 연구대상과 지료의 수집
2. 자료분석 및 연결망(지표)의 측정
3. 검증절차
Ⅳ. 분석결과
1. 자아네트워크(ego network)
2. 네트워크 결속8): 연결정도(degree) 및 밀도(density)
3. 중앙성(Centrality)
4. 결집집단(Cohesion)
5. 구조적 위치(Structural Position)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