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2016년 도쿄올림픽의 좌절과 도시의 정치경제

원문정보

The Setback of Tokyo bid for the 2016 Summer Olympics and the Urban Political Economy

김은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critically analyzes the setback of Tokyo’s bid for the 2016 Summer Olympics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political economy.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TMG) with policy goal of ‘global city’, it claimed to support the ‘The Mature city’ to host the Olympic games joining with the urban regeneration. TMG publicly announced ‘Green·Compact·finance’ as the slogan of the 2016 Olympic with a plan of urban development project costing one trillion Yen, it was far from what can promote inclusive urban regeneration. The 2016 hosting activities overemphasize the urban competitiveness and Tokyo 23 wards’ gentrification, justified the urban polarization. TMG repeated the establishment of the ‘growth coalition’ based on the pork-barrel politics in the previous high-growth era, while the civil society responded to this with an emphasis on life politics and ‘event coalition’. On the contrary of the slogan, the 2016 hosting activities and plan exposed some problems: the pollution and the safety of reclaimed land, the increase of the cost of equipment, and the excessive official expenditures. Even after the failure in the 2016 Olympic bids, TMG has recently expressed its interest in the bid for the 2020 Olympics by proposing a slogan of ‘Japan’s recovery’ from 3·11 Tōhoku earthquake and tsunami. This paper tries to speculate how the mega-events would change the networks of the global city-regions in the fierce competition of cities in the 21st century.

한국어

이 연구는 도시의 정치경제적 관점에서 2016년 도쿄올림픽의 유치활동이 좌절 되는 과정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논문이다. ‘세계도시’를 표방하는 도쿄 도정은 올 림픽 유치와 도시재생을 결합한 ‘성숙도시’ 만들기를 표방했다. ‘환경 콤팩트 재 정’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운 1조 엔 도시재개발을 계획했으나, 사회통합적인 도시 재생과는 거리가 멀었다. 유치활동은 도시 경쟁력과 23구 중심의 도심회귀만을 강조하면서, 공간적 양극화를 정당화했다. 도쿄 도가 과거 성장시대의 이익유도형 정치인 ‘성장연합’을 구성했다면, 저성장시대의 생활정치를 요구하는 시민사회는 ‘이벤트연합’으로 대항해 나갔다. 올림픽 슬로건과 달리 유치활동과 계획은 매립 지의 오염 안정성 문제를, 시설비의 증가를, 그리고 과다지출을 드러내었다. 3·11 동일본대지진 이후 ‘일본 부흥’을 이념으로, 도쿄 도는 2020년 올림픽 유치에 재 도전을 표명했다. 21세기 도시들 간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메가이벤트가 세계도 시지역의 네트워크를 어떻게 변화되는지 전망해 본다.

목차

요약
 1. 저성장시대, 2016년 도쿄올림픽 유치?
 2. 21세기 올림픽과 도시의 정치경제: 올림픽 도시와 도쿄올림픽(들)
  1) 세계도시·메가이벤트·도시재생: 성장연합 vs 이벤트연합
  2) 도쿄의 올림픽(들): 고도성장기(1964년)와 저성장기(2016년)
 3. 2016년 도쿄올림픽 유치활동: 도심회귀와 유치 계획
  1) 일본 내 유치경쟁: 도심회귀와 권한이양의 문제
  2) 2016년 도쿄올림픽 개최 계획: 환경 콤팩트올림픽?
 4. 2016 도쿄올림픽 유치 좌절: 쟁점들과 남겨진 문제들
  1) 유치의 쟁점들: 성장연합 vs 이벤트연합
  2) 남겨진 문제들: 막대한 유치경비와 개최지 토지처리?
 5. 저성장시대, 메가이벤트와 대도시권 네트워크의 변화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은혜 Kim, Eun-Hye. 도쿄대 사회과학연구소 객원연구원(서울대 사회학과 박사 수료, 전공: 도시·문화사회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