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교교육과정 자율화가 초등학교교육에 주는 함의

원문정보

Curriculum Autonomy’s implicated meanings to Elementary School Education

문정표, 강충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at Curriculum autonomy of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to explore what the implications to a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rimary school education as the basis of its meaning in curriculum autonomy's fraught meaning with some implications about what is found in the conceptual dimension. Search results, state-level curriculum emphasize two major significance was First,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requires a paradigm shift. Second, it stressed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With this basis of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obtained. First,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is needed for the review and agreement. Second, the school level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school education is required to maintain the autonomy. Third, the faculty meeting and how the information is needed on the new perspectives and challenges. Fourth, teacher training and training support for reconstitution is required.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 상의 학교교육과정의 자율화가 초등학교교육에 주는 함의를 탐색하는데 있었다. 학교교육과정 자율화 조치가 내포한 의미를 찾고 이를 기초로 그 의미들이 초등학교교육에 어떤 함의를 갖는지에 대해 개념적 차원에서 파악하였다. 탐색 결과,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학교교육과정 자율화를 강조함으로써 2가지의 주요한 의미를 강조하고 있었다. 첫째, 학교교육과정의 개발 패러다임의 변화를 요구한다. 둘째, 교사의 전문성을 강조하였다. 이를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은 함의들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교교육과정 개발 모형에 대한 검토와 합의가 필요하다. 둘째, 학교차원의 학교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자율권의 보장이 필요하다. 셋째, 교직원 회의의 방법과 내용에 새로운 시각과 도전이 필요하다. 넷째,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력 재고를 위한 지원과 연수가 필요하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교육과정 자율화의 의미 탐색
  1. 교육과정 개발 패러다임의 변화
  2. 교사의 전문성
 Ⅲ. 초등학교 교육에 주는 함의
  1. 학교교육과정 개발 모형 검토
  2. 학교차원의 교육과정 개발 자율권 보장
  3. 교직원 회의의 재발견
  4.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력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문정표 Moon, Jungpyo. 광주 큰별초등학교
  • 강충열 Kang, Choongyoul. 한국교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