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토착화신학의 실천성을 향한 선교학적 성찰

원문정보

A Missiological Consideration on the Practicality of the Korean Indigenous Theology

이후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digenous theolog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s of missiological theology. It is not only concerned with theory but also practical. The history of Christian mission is none other than the history of indigenization through the encounter between culture and the gospel. This encounter appears in three ways in large, which are gospel absorbed by the local culture, gospel over the culture, and gospel compromising with the culture respectively. R. Niebuhr's five models and S. Bevan's models of contextual theology are the theoretical models that deepened and expanded these three relationship model. However, no attempt has been made to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Korean indigenous theology in terms of practicality except for some theoretical achievements in 1960s in Korea. That is, the traditional Korean culture is only found in liturgies and church culture that represent the typical Korean church cannot easily found. Some examples of church architecture imitating traditional Korean building, church music following the traditional folk tunes, funerals liturgy and sacred things for the eucharist and paintings etc. Furthermore, the shift of pastoral paradigm of 1990s in Korean church values the modern and western Christian culture, which are found in the praise and worship in modern style. Therefore, Korean church is characterized by the modern and wester styles of worship service and buildings, and it is not easy to find the models of indigenous Christianity in a missiological aspect. It is necessary to answer the questions why the Korean indigenous theology has ignored the practicality, and to suggest alternatives to this matters. This process begins with configu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indigenous theology. This paper surveys the debates on indigenization in early periods of Korean indigenous theology. It is followed by the examination of some theologians such as Sung-bum Yoon, Dong-sik You, Sun-whan Byeon. It will also make an missiological consideration of the indigenous theology by comparing it with D. McGavran's perspectives on it. This paper will suggest that the critical examination of the forms and contents of the Korean indigenous theology with the perspective of the missional church will contribute to solving the problems of practicality in Korean church.

한국어

토착화신학(indigenous theology)은 선교신학에서 중요한 개념 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가장 실천적인 개념이다. 뿐만 아니라 기독교 선교의 역사는 문화와 복음의 만남을 통한 토착화의 역사이다. 복음과 문화의 만남이 크게 세 가지 차원에서 이루어지는데, 복음이 문화 속에 동화 되던지, 복음이 문화를 정복하던지, 복음과 문화가 적절히 타협하는 것이 그것이다. 우리가 잘 아는 리챠드 니버의 문화와 복음과의 관계 다섯 가지 유형과 스테븐 베반스의 상황화신학 다섯 모델 등은 이를 좀 더 확대 심화시킨 이론적 유형화이다. 그런데 이 토착화를 신학적으로 정리한 토착화신학이 한국에서는 60년대의 논쟁을 통한 이론적 성과 외에 실천적 모습을 거의 발견할 수 없다. 지금까지 한국 교회를 특징짓는 뚜렷한 토착화 된 예전이나 교회문화를 좀처럼 발견하기 힘들다는 말이다. 전통 가옥을 본 딴 예배당, 우리 가락 음악, 장례절차 및 추도예배, 성찬의 도구, 미술 등 극히 한정된 부분에서 제한된 모습만을 보여준다. 특히 90년대 이후 한국 교회의 새로운 목회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현대 서구의 기독교 음악을 바탕으로 진행하는 경배와 예배에서는 토착화에 대한 가능성을 전혀 볼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해서 한국 교회의 모습에는 서구적인 예배와 건물이 가득하고, 선교적 차원에서의 토착화 모델을 발견하기 힘든 상황이 된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한국 토착화 신학이 그러면 왜 비실천적이 되었는지에 대한 문제점의 지적이 필요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것은 지금까지의 토착화신학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밝히는데서 시작된다. 이것을 위해 우리는 초기 토착화논쟁의 성격, 토착화신학의 주도자들로서 감리교의 대표적 토착화 신학자 윤성범, 유동식, 변선환의 간략한 경력과 그리고 이들의 신학적 특징으로서 종교신학으로서 토착화신학에 대해 살펴본다. 다음으로 이에 대한 또 다른 이해로서 교회성장학자 도널드 맥가브란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토착화신학과의 비교를 통해 선교학적 성찰을시도해 본다. 결국 이 둘의 비교와 선교적 교회론의 관점에서 한국 토착화신학의 내용과 형식이 어떻게 전개되었어야 하느냐의 문제를 따지며 상황화로 나아갈 때에 교회의 실천적 문제가 해결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려는 것이 이글의 목적이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한국 토착화신학의 특징
 III. 한국 토착화신학의 실천성을 향한 선교학적 성찰
 I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후천 Huchun Lee. 협성대학교 실천신학/선교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