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슐라이어마허와 프래드 크래독에 대한 해석의 반전(反轉)

원문정보

A Reversal of Interpretaton about Schleiermacher and Fred B. Craddock

오승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 Schleiermacher and F. B. Craddock’s similar strategies, which sought to advocate the necessity of religion by elucidating religion in the Romantic manner(Schleiermacher) or in an apologetic way(Craddock) to contemporary people who were ignorant of it, were criticized that they reduced the transcendental revelation into a human experience, and thus they were liberal theologians. Many critics criticized that Schleiermacher reduced the transcendental deity to the human subjective experience and Craddock limited the meaning of the Gospel to the experience of comtemporary American people. However, such evaluation is to disregard the basic intention of their theologies, and so rash. The true aim of Craddock’s homiletics is to recover the authority of the Gospel through an open dialogue between preacher and audience, that is, to restore the authority of the Bible by preaching ‘as one without authority.’ If we do not apprehend this aspect of Craddock’s homiletics, we can be in danger of thinking of him as liberalist, because he seemingly emphasizes the active role of audience. Those who regard him as liberalist assume that the present experience of audience would limit the true meaning of the Gospel. But, in my view, such a criticism for Craddock’s homiletics seems to overlook the basic aim of Craddock’s homiletics of mediating Christianity with secular culture. Other critics evaluate that Craddock’s homiletics opened the unlimited possibility of interpretation to audience. If we give audiences an infinite freedom of interpretation, they could make interpretation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Christianity. However, for me, this criticism stems from the fact that they did not distinguish a central narrative from a peripheral narrative. While, for the former, Craddock does not permit the possibility of interpret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Christianity, for the latter, he does it. In conclusion, the authority of preaching is not acquired only by a will of preacher. It needs an active interest of audience.

한국어

슐라이어마허와 크래독은 동일한 문제에서 출발했다. 슐라이어마허는 당대의 종교를 멸시하는 교양인들에게 종교가 의미 있는 것임을 그 교양인들에게 맞는 방식을 사용하여 변증하고자 하였고, 크래독은 기독교의 복음이 이미 식상할 대로 식상한 현대 미국인들에게 그리스도의 복음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을 그들의 방식에 맞게 변증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모두 동일하게 복음을 인간의 주관적인 경험으로 환원했다는, 그래서 자유주의자라는 비판을 받아 왔다. 즉, 슐라이어마허는 초월적인 신을 인간의 주관적인 경험으로 환원했고, 크래독은 현대 미국인의 인간 경험의 범주로 성서의 메시지를 제한시켰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실제로 무엇을 의도했는지를 모르고 그들을 자유주의자라고 평가하는 것은 그들에 대한 너무나 성급한 평가이다. 슐라이어마허에 대한 지금까지의 평가와는 다른 방식을 통해 슐라이어마허를 새롭게 해석하는 것은 기존의 크래독에 대한 평가 역시 반전시키는 놀라운 결과를 가져온다. 크래독의 설교학이 진정으로 목표로 하는 것은 ‘설교자와 청중의 대화를 통한 성서의 권위의 회복’이다. 즉, ‘권위 없는 자처럼 설교하여 성서의 권위를 다시금 회복하는 것’이다. 크래독의 설교학이 가진 이런 측면을 보지 못하고 오로지 청중의 능동적인 참여만을 보는 이론가들은 그 청중들의 능동적인 참여로 인해 설교자와 성서의 귄위가 훼손된다고 보고, 크래독의 설교학을 자유주의적이라고 비난한다, 그러나 이것은 크래독의 설교학의 진의를 간과한 비난이다. 또한 크래독은 청중에게 해석을 열어 놓았다는 점 때문에 비판을 받는다. 청중에게 해석의 자유를 열어 놓으면 기독교 전통과는 전혀 다른 해석을 하여 기독교 전통의 왜곡을 불러 올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비판은 내가 보기에 기독교 언어 체계 내에 존재하는 핵심적인 서사와 그 핵심적인 서사를 둘러싸는 주변적인 서사를 구분하지 못하고 모든 서사를 핵심적인 서사로 이해하고서 크래독의 설교학을 이해했기 때문에 나타난 비판으로 보인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슐라이어마허와 크래독의 신학과 일반적인 평가
  1. 슐라이어마허의 신학과 일반적인 평가
  2. 크래독의 설교학과 일반적인 평가
 III. 슐라이어마허와 크래독에 대한 해석의 반전
  1. 슐라이어마허 해석의 반전
  2. 크래독 해석의 반전 1
  3. 크래독 해석의 반전 2
 I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오승성 Seungsung Oh. 한신대학교 조직신학/설교학 외래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