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성만찬 예전예배에 대한 해석학적 차원에서 디아코니아 의미

원문정보

The meaning of diakonia concerning eucharistic liturgical worship on an exegetic level

김옥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o the comtemporary churches in korea consider eucharistic worship only as liturgical cult and not as christian doing and performing? Is it the case that most protestant church services concentrate on preaching and holding sermons and that these are all too often restricted on oratory and liturgical performance? It seems obvious that the preaching of God's word requires believers willing to act according to God's will. Obedience of christian believers means that they are ready to devote their lives to serving other people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Jesus Christ's love. The Last Supper as described in the Bible connected the breaking of the bred by Jesus and Jesus' doing when he fed the poor and the hungry with the tradition of the original Christian community in Jerusalem. In the paulinan tradition the Last Supper reminded the congregation of Jesus' self sacrifice. This Last Supper with bred and wine has two meanings. On the one hand it means recollection of the death of Jesus Christ who served as diakonos at the table and as redeemer of the world. On the other hand it means that the believers participate in the promise given by Jesus Christ that we are inheritors of the Kingdom of God. The new law promised by Jesus announces that a new law must be realized in the society demanding that all people love each other. Above all this includes eucharistic worship with bred and wine. This means that Christians must live in community with the body of Christ. The church representing the body of Christ contains the elements of society. These elements of society show clearly that the hungry are fed by the church community as a consequence of many eucharistic traditions. This is based on diakonia as practised by Jesus himself when he was still alive and when he saw to it that the hungry were really fed. The eucharistic tradition in the Christian community at Jerusalem also practised sharing of goods among the rich and the poor in the community. The Last Supper place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liturgical practice as a means to creating new mutual life representing God's love. The eucharistic tradition contains more than just liturgical cult which means that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served full meals and beverages. Therefore the Eucharist with bred and wine overvomes mere oratory and liturgical performance. This means that the Christian community follows the diaconical example given by Jesus Christ. Those people taking part in the Eucharist get rid of secular egotistic beliefs that reinforce common beliefs. The eucharistic Church must not neglect the social field as religious community. Therefore the eucharistic community must carry the religious function and the social function. The Last Supper founded by Jesus must be proved by helping one's neighbors thus putting to work one's faith in the appearance of Christ. Consequently the new christo-centric promise given by Jesus makes the Christian community a loving diaconical community based on Jesus' new law.

한국어

오늘날 한국교회는 성례전적인 예배를 하나의 예전의식에 머무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지는 않는가? 특히 개신교의 예전가운데 말씀선포에 집중하는 설교중심의 예배는 종교적인 말씀행위와 예전행위로 제약시키고 있지는 않는가? 그러나 분명한 것은 예배 시에 선포되는 말씀은 듣는 자들로 하여금 순종의 행동을 요구한다. 하나님 말씀에 대한 순종은 그리스도의 사랑으로부터 나오는 신앙인의 총체적인 봉사의 삶을 사는 것이다. 성서가 증언하는 주님 예수께서 제정하신 성만찬에 대해 예루살렘 원시기독교공동체전승은 “빵을 자르는 것”으로 예수가 생전에 굶주린 자들을 먹이신 것과 연결시켰으며, 바울전승은 주님의 만찬은 죽은 자를 기념하는 식사의 전통과 관련을 시켰다. 이와 같은 빵과 포도주의 성만찬적인 의미는 식탁에서 섬기는 자로서 최후의 희생죽음으로 구원을 이루신 예수그리스도를 회상할 뿐만 아니라, 하나님나라의 언약의 백성으로서 그리스도가 세우신 언약의 법에 참여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리스도가 세운 새 언약의 법은 “서로 사랑하라”는 새 계명을 이 세상 속에서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성만찬의 '빵과 포도주' 요소로부터 나오는 성만찬적 예배는 그리스도의 몸 사상에 기초하는 사회적인 연관성을 가진다.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교회는 항상 본질적으로 인간 사이에 관계하는 사회적인 요소를 가진다. 이러한 사회적 요소가 다양한 성만찬예전 전승 속에서 가난한 자들이 공동체식사에서 먹여지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그리고 이는 예수가 살아생전에 가난한 자들을 먹여주신 예수의 디아코니아에 근거한 것이다. 원시 예루살렘공동체의 성만찬예배는 가난한자와 부유한 자가 서로 물질을 함께 나눔으로 경제적인 평등을 실천하였다. 이렇듯 주님의 만찬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사랑으로 더불어 사는 공동체적인 삶에 대한 예전적인 행동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원시기독교의 만찬은 먹을 것과 마실 것을 가지고 식탁을 제공하는 것에 있었으며, 이는 성만찬적인 전승이 단순한 예식적인 행위보다 더 많은 것을 포함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빵과 포도주의 성만찬제정이 단지 예식-의식에 머무는 것을 극복시켜주며, 이러한 성만찬적 예배가 가지는 본연의 의미는 교회공동체가 성만찬 속에서 섬기시는 예수에 상응하는 교회공동체의 디아코니아 삶을 촉구하는 것이다. 그리스도의 몸과 피에 참여하는 자들의 예배는 세속화된 개인주의 신앙을 제거시켜주며, 신앙의 공동체성을 강화시켜준다.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성만찬적 교회공동체는 예배-종교적인 공동체로서 사회적인 영역을 도외시할 수 없다. 따라서 성만찬적 예배공동체는 종교적 기능과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 존재가 되어야한다. 주님의 성만찬제정의 말씀은 그리스도의 섬김에 상응하는 이웃에 대한 돌봄을 통해서 그리스도의 현존이 영향력 있게 증명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주님이 제정하신 그리스도중심의 새 언약은 교회공동체로 하여금 새 계명에 기초하는 사랑의 공동체로서 디아코니아공동체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예전으로서 성만찬제정의 원초적 자료전승
 III. 예전으로서 성만찬 제정사의 요소들과 그 의미
  1. 성만찬 제정사의 요소들
  2. 성만찬 제정사의 의미들
 IV. 성만찬적 예배와 결합되는 식탁공동체전승들
  1. 유대적인 식사풍습과 성만찬의 관련성
  2. 고대교회 아가페식사 전승들과 성만찬의 관련성
 V. 성만찬적 예전의 사회학적 의미에서 디아코니아
  1. 성만찬에 나타난 사회적 동등성의 의미
  2. 성만찬에 나타난 사회적 기능으로서 디아코니아
 VI. 성만찬적 예배에 대한 해석학적 의미에서 디아코니아
  1. 성만찬적 예배에 나타난 디아코니아의 의미
  2. 성만찬적 예배와 디아코니아 삶
 VII.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옥순 Oksoon Kim. 한일장신대학교 실천신학/디아코니아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