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인문학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자기초상의 미적 형상성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esthetic Representation of Self-portrait in Korean Modern Poetry

박윤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oetry is a representative genre which expresses personal impression and recognition of the subject encountering objects. Especially for modern poetry is strengthened to enhence simple expression of subjective emotion and explore the objective meaning of external features, it showed a important change of the thought and expression of beauty. The self-recognition and aesthetic experience expressing self-portrait in modern poetry reveals the objective self-reflection in reality rather than subjective praise of materials or romantic expression of thought. It derived from the recognition of the existence of ‘mirror’ and self-reflective consiciousness.. This can be realized in making the poet's self-portrait to be a poeticl material. Several poems of Lee Sang and Yoon Dong-joo showed mirror image for self-reflection. And also in Seo Jeong-joo's poems this self-recognition included socio-historical context beyond personal dimension, and also in Ro Cheon-myung's poems it showed more routine life-consciousness that provide the thought of beauty to be a momentum of cultural consciousness.

한국어

시문학은 대상에 대한 주체의 개인적 인상과 인식을 직접 표현하는 대표적인 문학장르에 해당한다. 특히 현대시의 경우 단순한 주체의 감정 표출의 형식을 지양하고 대상에 대한 객관적 인식과 의미 탐구를 추구하는 주지적 성향이 강화되어 온 바, ‘아름다움’이라는 관념에 대한 인식과 그 표현 역시 낭만적인 대상의 예찬이나 주관적 감정이입으로부터 벗어나 대상의 미적 형상화나 그 의미에 대한 탐구로 심화되는 경향을 보여 왔다. 현대시에 나타난 자기초상에 대한 표현과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시적 주체의 자기인식 및 미에 대한 객관적 인식은 결코 단순한 대상이 지닌 아름다움에 대한 예찬이나 감정이입의 방식을 통한 낭만적 주체의 관념 표출에 국한되지 않는 미적 인식과 형상성을 보여준다. 그것은 무엇보다 ‘거울’의 존재에 대한 인식이 자기반영적 의식의 소산이며, 그를 통한 현실적 자아에 대한 객관적 성찰의 과정을 거침으로써 가능한 것이었다. 이것은 현대시인들이 자기초상을 시적 소재로 함으로써 현실화된, 이상의 시로부터 비롯되어 윤동주의 ‘청동거울’과 ‘우물’의 이미지로 심화되어 나타난다. 아울러 이 과정에서 관념적인 자아인식은 서정주 시의 경우 개인적 차원을 넘어서 사회역사적인 맥락을 포괄하는 한편, 노천명의 시에서는 보다 일상화된 생활의식으로 변화됨으로써 아름다움에 대한 관념이 하나의 문화의식으로 자리잡게 되는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현대시의 미적 인식과 거울 이미지
  1) ‘미인’의 형상과 예술적 창조정신
  2) 거울 이미지와 자기초상의 발견
 3. 자기초상의 미적 형상화 방식
  1) ‘우물’의 상상력과 나르시스적 자기형상 - 윤동주의 경우
  2) 가학적 성찰과 醜美에의 애착 - 서정주의 경우
  3) 일상의 내면화와 문화로서의 미의식 - 노천명의 경우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윤우 Park, Yoon-Woo. 서경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