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인문학

김춘수의 유년과 우울 - ‘나르시스적 우울증’의 발생론적 동기와 배경에 관한 일 고찰 -

원문정보

The childhood and melancholia of Kim Chun Su - A study on evolutional motive of ‘narcissistic depression’ -

김유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 Kim Chun Su, poetry is a process for the goal of the salvation of self existence.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with the overcome of narcissistic depression, the salvation of self existence is very important to him. For his part, poetry writing and the overcome of narcissistic depression is the same sense. Narcissistic depression is basically due to the loss of maternal Chose. In other words, melancholia of the loss which due to the lack of maternal Chose is direct cause of narcissistic depression. Therefore, his poetry writing is for the cure of narcissistic depressive Ego who fall in down with melancholia of the loss. In order to successful healing this, the discovery of paternal thing is essential - the thing that leads well Ego suffered by impossibility of matricide to real life. This article is based upon his early poetry and his memoir of infancy and childhood. And this article focuses on how he turns against narcissistic depression which presses him down. In this process, I rely mostly on such as Melanie Klein's and Julia Kristeva's psychoanalytic theories which focus on the importance of depth of unconsciousness of infancy and childhood.

한국어

김춘수에게 있어 시작(詩作)이란 위기에 처한 자기 존재의 구원이라는 목표에 다가서기 위한 하나의 과정이다. 여기서 존재의 구원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그것이 나르시스적 우울증의 극복 문제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이다. 요컨대 그에게서 시작이란 이러한 우울증을 극복해내기 위한 모색의 의미를 담고 있다. 나르시스적 우울증은 근본적으로 ‘모성적 쇼즈’의 결핍으로 인해 발생한다. 정확히는 모성적 쇼즈의 결핍으로 인해 빚어지는 ‘상의 슬픔’이 나르시스적 우울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그의 시작은 이러한 상의 슬픔의 단계에 빠져 있는 나르시스적 우울증의 자아를 달래고 치유하기 위한 것인 셈이다. 이러한 치유가 성공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모친 살해의 불가능성’으로 인해 현실에 적응치 못하고 고통받는 자아를 무리 없이 현실의 장으로 이끌어줄 수 있는 부성적 존재의 발견이 필수적이다. 이 글 김춘수가 남긴 유아기, 유년기의 회고와 그의 초기 시편들에 나타난 여러 가지 내용들에 기초하여, 그가 자신을 괴롭히던 나르시스적 우울증의 문제에 어떻게 대처해나가려 했는지를 밝히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 과정에서 유아기와 유년기의 무의식적 심층의 중요성에 주목했던 멜라니클라인과 줄리아 크리스테바 등의 정신분석 이론에 많은 도움을 받았다.

목차

국문요약
 1. 들어가며
 2. 김춘수 문학과 우울증의 상관관계
  1) 근거 없는 불안감과 위기의식이 낳은 병리적인 현상들
  2) 증상으로서의 우울증과 그 시적 발현 양상
 3. 유년기의 무의식과 우울증의 상관관계
  1) 유년의 기억, 그 특징적인 양상들
  2) 우울증의 근본 원인 : 유아기와 유년기의 정신 분석
  3) 실체 없는 그리움의 세계, 혹은 전망의 부재
 4. 나르시스적 우울증이 문제적인 이유
  1) 모친 살해의 근원적인 불가능성
  2) ‘상상의 아버지’ : 부성적 존재의 결핍과 그에 따른 대응책 모색
 5.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유중 Kim, You-Joong. 서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