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구글사의 위성영상과 미국의 지명위원회 데이터베이스에 나타난 일본식 지명연구 : 미국 군사지도와의 관련성 측면에서

원문정보

Japanese Place Names in Google Earth Images and GeoNames Database from the Perspective of Linkage with Topographic Maps Published by Army Map Service

박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wo hundred forty topographic maps stored in Korean War Project site have been analyzed. Data collection methods, year of publication, and languages used for place names have been analyzed through marginal note of each map produced by Army Map Service. Ninety-one maps are direct copies of apanese topographic maps published in 1910s and 1930s. Twenty four maps are redrawn after Japanese topographic maps. One hundred twenty five maps are compiled from Japanese maps and aerial survey data collected during the Second World War and Korean War. Japanese place names for the Korean places appear in the copied and compiled maps.These names are stored as variants in GeoNames database run by National Geospatial-Intelligence Agency of the USA. This database seems to be the origin of errors occasionally found in Google Earth maps.

한국어

미국의 한국전 참전용사를 위한 인터넷 사이트에 게시 중인 242매의 1:50,000 축척의 지도를 분석하였다. 미육군지도창에서 발간된 지도에 대하여 지도제작을 위한 데이터 수집방법과 제작연도 및 지명표기를 위해 사용된 언어를 중심으로 난외주기를 읽어서 정리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240개 지도가운데 91개 도엽의 지도는 1910년대와 1930년대에 발간된 일본이 제작한 지도를 그대로 복제한 것이며, 24개 지역의 지도는 일본이 제작한 지도를 기반으로 재제도한 것이다. 가장 많은 수인 125개 도엽은 일제 강점기의 지도에 제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 전후로 미군이 수집한 항공촬영정보를 보완하여 편집한 지도이다. 일본식 지명은 복제된 지도와 대부분의 편집된 지도에 그대로 나타나며, 이들이 미국의 국가지리정보국에서 운영 중인 지명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되게 되고 현재까지도 이칭의 형태로 남아 구글 어스 지도와 같은 인터넷 매체에 발견되는 오류의 근원이 되고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방법 및 주제
 II. 미군사지도의 한국지명의 로마자화표기의 역사
  1.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약사
  2. 일본식 로마자화 표기의 등장 배경
 III. 한국전 기념 사이트의 1:25,000축척의 지도 분석
  1. 제작방식과 원도의 출처에 따른 분류
  2. 지명의 표기 방식에 따른 분류
  3. 미국의 한국관련 지리 정보수집
 IV.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경 Kyeong Park. 성신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