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With the recent rapid increase of large-scale excavations, archaeological remains dating to the Joseon Dynasty have begun to be investigated and examined. In this context, studies on burials of the Joseon Dynasty have frequently been conducted. However, from a methodological point of view, studies on the pit tombs of the Joseon Dynasty have not been able to overcome the perceptions of the previous studies. With regard to this, this article briefly examines points of caution for each step of investigation during the preliminary and main excavation of Joseon Dynasty pit tombs. First of all, during preliminary excavation, pit tombs of south-facing slopes require preliminary investigation by installing a trench regardless of the nature of their preservation or the difficulty of excavation. This is because in the Joseon Dynasty, the head of the corpse was oriented in a northernly direction. Meanwhile, the exact identification of the soil strata of the burial feature is required, since problems may occur when this information is lacking or not explicit. Secondly, requirements for each stage of investigation during excavation were examined as follows. The process of removing the earth that covered the archaeological feature, and identifying the outline of the feature must be undertaken with care. In particular, effort must be put into identifying the traces of a mound structure. When investigating the soil strata, it must be observed whether a characteristic U-shaped sink is present. This is because this may confirm the use of a wooden coffin tomb in the absence of more direct evidence, such as reinforced soil, coffin nails, and timber. The use of a wooden coffin tomb may provide insight into the social position and class of a corpse. If the location of excavated artifacts are explicitly described in the reports of further investigations, a more varied range of studies may be carried out on the data. In conclusion, this article, which has been based on the trials and errors that took place during the investigation of features and artifacts of the pit tombs of the Joseon Dynasty, was prepared so that misunderstandings and misinterpretations would not be repeated. It is hoped that the article will allow us to fully understand the basic and essential investigation methods of Joseon Dynasty pit tombs so that much information on these archaeological remains may be gathered.
한국어
최근 들어 대형 발굴조사가 급증함에 따라 조선시대 토광묘 유적 역시 대규모로 확인, 조사되고 있다. 이에 연동한 결과로, 최근 조선시대 분묘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는데 비해 조선시대 분묘, 그 중에서도 토광묘에 대한 조사방법론적인 측면에서는 아직도 前代의 인식을 완전히 깨뜨리고 있지 못한 상태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조선시대 토광묘를 대상으로 하여 실제 시굴 및 발굴조사의 각 조사과정에서 유의해야할 점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먼저 시굴조사에 있어서는 지형에 따른 트렌치 설치에 관한 문제로 북향을 피장자의 두향으로 지향하는 조선시대 토광묘의 특징에 따라 조사구역 내 구릉의 남사면이 해당될 경우는 조사여건의 難易와 상관없이 반드시 시굴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유구조성층에 대한 명확한 파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발생되는 문제점이 상당하기 때문에 유구조성 층에 대한 명확한 판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음으로 발굴조사에 있어서 각 조사과정에 따라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사항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먼저 제토 및 유구 윤곽선 확인작업에 있어서는 세밀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봉토의 흔적을 평면상으로 확인하여야 할 것이다. 토층조사에 있어서는 피장자의 신분 또는 계층성을 파악할 수 있는 목관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토층양상을 검토할 때, 뚜렷한 U자형 함몰양상을 나타낼 경우에는 목관묘로, 이에 비교하여 수평 퇴적 양상을 나타낼 경우에는 직장묘로 구분이 가능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목관 사용 여부의 증거-보강토 및 관정, 관재 등-가 미검출될 경우 목관 사용 여부의 판정에 있어서 이를 사용한다면 좀 더 명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후에 진행되는 조사내용의 기록과정에 있어서도 유물의 출토위치에 대한 명확한 기재가 이루어진다면 아주 다양한 연구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을것이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필자가 조선시대 토광묘 유적 및 유구를 조사하면서 수없이 거쳤던 시행착오를 바탕으로 똑같은 誤謬와 汚習을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 작성한 글로서 이를 통해 조선시대 토광묘를 조사하는데 있어서 최소한의 기본적이며, 필수적인 조사방법을 숙지하여 조선시대 토광묘가 가지고 있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시굴조사에 있어서 조선시대 토광묘 조사방법
1. 지형에 따른 트렌치 설치에 관한 문제
2. 유구조성층의 확인문제
Ⅲ. 발굴조사 순서에 따른 조선시대 토광묘 조사방법
1. 제토작업
2. 유구 윤곽선 확인작업
3. 토층조사 및 기록작업
4. 내부조사 및 기록작업
5. 유물수습
6. 보완조사 및 기록작업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