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will be focused the problem of the functional role and legal status of the correctional officer. This study will be discussed on the assumption that is the phenomen of the disharmony in the correctional working environment caused from the indiscriminate application of the occidental rationality to the traditional consciousness. Such a viewpoint could be ascertained in the fact that most of the currunt studies of the correctional science show the negative consequence of the working condition of the correctional officer. This implication is conformed also in the discordant or mismatching between the working strength and legal status as the public official in prison. Such a fact could be traced the concept and its interpretation of the bureaucratic rationality of Max Weber to its origin.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the bureaucratic rationality of Max Weber, how the functional role is related with legal status of the correctional officer and how it is reflected especially within correctional officers’ training programs system. Under such examination this paper will try to construct an alternative, that is, a critical Discourse against the concept of the bureaucratic rationality of Max Weber.
한국어
본 논문은 교정공무원의 기능적 역할과 법적 지위에 대한 문제를 다룬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의식을 전제한 근로환경에 서구식 합리성의 무차별적 적용에서 비롯되는 부조화적 현상을 그 전제로 상정한다. 그러한 관점은 교정공무원의 근무 현황 및 그 처우에 관한 그간의 연구들이 대체로 부정적인 시각으로 그 결론을 맺고 있다는 사실에서도 확인된다. 또한 그 함의는 교도소 내의 직장노동의 강도와 교정 공무원으로서 갖는 법적 지위와의 불일치, 혹은 모순적 구조 안에서 연계되어 확인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는 막스 베버(M. Weber)의 관료주의적 합리성 개념과 그 해석의 문제로 거슬러 올라가 유추해 볼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막스 베버의 ‘관료주의적 합리성’을 매개로 교정공무원의 법적 지위에 명시된 기능적 역할이 어떻게 연계되어 있고, 그 현황이 특히 교정공무원의 전문교육의 과정 안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를 고찰한다. 그러한 고찰을 전제로 막스 베버의 ‘관료주의적 합리성’ 개념 틀에 대한 비판적 대안을 시도한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막스 베버(Max Weber)의 ‘관료주의적 합리성’에 대한 개념적 이해
III. 교정공무원의 기능적 역할과 법적 지위에 대한 비판적 고찰
IV. 모순적 현황에 대한 대안적 시도: 막스 베버를 넘어서
1. 서구적 관점
2. 동양적 관점
V. 나가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