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D 혁신역량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 : 대구지역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 간 비교분석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apability of R&D and the Firm's Performance : Comparing Regional Strategy Industry with Non-Regional Strategy Industry in Daegu

신진교, 조정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apability of R&D and the firm's performance by mainly comparing regional strategy industry with non-regional strategy industry. Also, this analysis involved comparing the relationship by regional strategy industr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divided innovation capability of R&D into input, process and output. The first of main results in this study was that regional strategic industr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regional strategy industry in innovation capability of R&D with the exception of the CEO's mind for technological innovations. However,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rm's performance. Second, in the results of comparing innovation capability of R&D and the firm's performance by regional strategy industry, electronic-information equipment industry was significantly superior to other industri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apability of R&D and the firm's performance was different by regional strategy industry. Also, R&D manpower and R&D process were mo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firm's performance rather than R&D input and output.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R&D 혁신역량의 구성요소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고자 하는데 있다. 그리고 지역산업에 있어서 전략산업의 비중을 감안하여 전략 산업과 비전략산업 간에 비교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 음과 같다. 첫째,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 간의 차이분석 결과를 보면 CEO 기술혁 신의지를 제외한 모든 R&D 혁신역량 부문에 있어서 전략산업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업성과에 있어서는 비유의적이지만 전략산업의 기업성과가 높게 나타 났다. 둘째, 전략산업 간 차이분석을 한 결과를 보면 기업성과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총자산순이익률의 경우 메카트로닉스와 전자정보기기산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매출액성장률에서는 전자정보기기산업이 가장 높았다. R&D투입에 있어서 연구개발투자인력은 전자정보기기산업이 그리고 석․박사연구인력은 생물 산업이 가장 높았고 모두 1% 유의수준에서 전략산업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 다. R&D과정에 있어서는 기술혁신전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전략산업 간 유 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에서 전기정보기기산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R&D산출인 지적재산권 보유 정도에 있어서도 전자정보기기산업이 6.75 건으로 가장 높았다. 셋째, 모든 산업에 있어서 R&D 혁신역량이 기업성과에 동일 하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R&D투입이 기업성 과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는 달리 석․박사연구인력과 같이 연구개발인력 의 질이 더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분적이지만 R&D성과 보다는 R&D과정이 더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R&D 혁신역량이라는 점 을 함께 발견할 수 있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대구지역 전략산업 현황
  2. R&D 혁신역량과 기업성과
 Ⅲ. 실증분석
  1. 표본 및 변수의 선정과 연구방법
  2. 차이분석 결과
  3. 회귀분석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진교 Shin, Jin-Kyo. 계명대학교 경영학부 부교수
  • 조정일 Jo, Jeong-Il. (재)대구TP 정책기획단 선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