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내 자동차 번호판의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ypography of Vehicle License Plate in Korea

노은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 develop the perfection of typography of vehicle license plate which is one of the factor to construct our visual public environment, among the current license plates, '1973-2003 year's license plate(the province name is written, white on green, two lines)', '2004 year's license plate(the province name is omitted, white on green, two lines)', '2006 year's license plate(the province name is omitted, black on white, one line)' have examined centrally. Firstly, arranging pattern and space composition of license plate have examined. Secondly, shapes of Korean and number have examined. Lastly, space between the word letters. As a result, '2004 year's license plate' has transformed the space in word letter, and aesthetic aspect of word letter has rather declined. Since a margin of the 'registered number' has narrowed, the plate becomes difficult to decode and has error in decode. The '2004 year's license plate' has poorly readable typography. The '2006 year's license plate' has made sure to have a margin of the 'registered number' to higher decode, and has added serif in 'number 1' to prevent the confusion with 'Korean ㅣ'. However, compacted writing of Korean region in rectangular frame has declined assessment. Lastly, the space of word letter between the 'registered number' has discovered to be inconstant which is in need of detailed adjustment. Thus, to develop the perfection of typography of license plate, 1) the space and the margin of the word letter should be in harmony with each other, 2) the distinction for shape of Korean needs to be improved, and 3) the number should be made based on constant space between word letter, no way to misleading, and difficulty of falsification. Furthermore, continuous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ypography to develop of number and Korean fonts used for the license plate is inevitable.

한국어

우리의 공공 시각 환경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인 자동차 번호판의 타이포그래피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 현행 자동차 번호판 중 ‘1973-2003년형(지역명이 표기된 번호판, 녹색 바탕에 흰색 글자, 2열)’, ‘2004년형(지역명을 뺀 번호판, 녹색 바탕에 흰색 글자, 2열)’, ‘2006년형(지역명을 뺀 번호판, 흰색 바탕에 검은색 글자, 1열)’ 번호판을 중심으로 논의해보았다. 첫 번째로 번호판의 배열 방식과 공간 구성을 살펴보고 두 번째로 한글과 숫자의 형태를 분석해 보았으며, 마지막으로 글자 사이 공간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2004년형 번호판은 1973-2003년형의 글자 속공간을 변형시킨 것에 그쳤으며 글자의 심미성이 오히려 떨어졌다. 또한, ‘등록번호’의 여백이 좁아져서 판독성이 떨어졌으며, 숫자가 한글로 읽히는 오독(誤讀) 현상이 일어나는 등 가독성에도 문제를 보였다. 2006년형 번호판은 ‘등록번호’의 여백이 적당히 확보되어 판독성을 높였고, ‘숫자 1’에 세리프를 넣어서 ‘한글 ㅣ’와 헷갈리지 않도록 했다. 그러나 네모틀에 꽉 찬 한글 지역명 표기는 변별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등록번호의 글자 사이 공간이 일정하지 않아서 이를 세밀하게 맞추어 나갈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국내 자동차 번호판의 타이포그래피 완성도 향상을 위해서는 1) 글자의 공간과 여백이 조화를 이루어야 하고, 2) 한글 외곽 형태의 변별력이 개선되어야 하며 3) 숫자는 글자 사이 공간이 일정하고 오독의 여지가 없고 위·변조가 쉽지 않도록 고려해서 만들어야 한다.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자동차 번호판 전용 한글과 숫자 글꼴의 개발과 같은 적극적인 타이포그래피 개선안이 필요하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과 목적
  1.2. 연구 범위와 방법
 2. 자동차 번호판의 개요
  2.1. 자동차 번호판의 역할
  2.2. 자동차 번호판의 역사와 국외 현황
 3. 국내 자동차 번호판의 타이포그래피 분석
  3.1 배열 방식과 공간 구성에 따른 분석
  3.2 한글의 형태에 따른 분석
  3.3 숫자의 형태에 따른 분석
  3.4 글자 사이 공간에 따른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노은유 Noh Eun-you. 홍익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