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데스틸(De Stijl) 그룹이 지닌 신조형주의 이념구축과 양식으로서의 프라퍼갠더(Propaganda)

원문정보

Neo Platicist ideology and pattern propaganda of De Stijl group

김연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e Stijl group – firm supporter of the formation of modern abstract art with mechanical aestheticism and influenced the formation of modern art and painting – did not only created patternized art but also acted as pioneer of abstract painting, architecture, design, etc. The paper looked at metaphysical and metachemical variances contributed to Neo-Platicist theory based on P. Monderian Theo Van Doesburg, and probability of common plausibility by referencing existing thesis – specifically that of Carens. Along with contribution of the creation of modernized patterns, mean of expression and audiences’ experience play an important role in foundation of new art that is based on fusion of art and technology. Thus, problems concerning obtaining credibility and objective rationality in selection of pattern, movement, methods for the topic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discussion and verify facts based o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interpretation. Along with cubism, futurism, constructionism, De Stijl identity had not only provided empirical experience in formation of 20th century’s modern art, but also reinterpreted factor and property of model employment in equivalence way using existing. Thus establishing mutual reciprocity of ideological type and form as well as its value. Also, the paper looks at interrelationship of framing influence between De Stijl movement in the formation of neo-formative art – visible and non-visible composition, influential factor, standard and value of ideology formation as formative art.

한국어

현대 추상 미술의 생성배경에 기계 미학의 지지와 함께 현대 예술과 회화 형성에 영향을 준 데 스틸(De Stijl)그룹은 양식으로서의 미학 창출 뿐만 아니라 회화 건축, 디자인 등 추상의 선구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몬드리앙(P.Monderian) 반 도에스부르그(Van Doesburg)를 중심으로 신조형주의의 이론적 구현에 공헌한 형이상학적, 형이하학적 변인 과 함께 보편적인 논제의 개연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위한 연구 방법은 선행 연구에 나타난 제이론을 탐색하였으며 De Stijl이 현대적 양식형성에의 기여와 함께 예술과 기술의 통합을 위해 순수한 관계에 기초를 둔 새로운 미학(美學)에 대한 조형수단과 감상자의 체험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논제와 연관 되는 양식, 운동, 방법 선택의 신뢰성 확보 및 합리적 객관성 확보에 대한 문제는 내포된 논의 내용을 진단하고 그 중요성을 확인하고 정량적, 정성적으로 진단, 재해석된 사실을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입체파, 미래파, 구성주의와 함께 아울러 데스틸의 정체성에 따른 20c 근대 예술사조 형성에 경험적 역할 수행뿐만 아니라 필요한 조형성의 요인과 속성을 상호 등가(Equivalence)적으로 재해석 하였으며 데스틸과 신조형주의 이념형식과 양식으로서의 상호관계와 표현된 가치속성을 정립하였다. 뿐만 아니라 데스틸운동이 신조형주의의 조형성에 연관된 요소와 형상의 구축에 대한 실체적 상관성 즉, 가시적 비가시적 구성과 영향 요인의 발견과 조형양식으로서의 이념구축의 준거와 가치 형식을 확인하였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방법 및 절차
 2. 데 스틸(De Stijl)그룹의 이념 전개
  2-1. 조형이념과 리얼리티(Reality)
  2-2. 기하학적 추상예술의 미학 확립
 3. 신조형주의(Neo Plasticism)이론과 형성
  3-1. 신조형주의의 형태이론
 4. 양식으로서의 가치체계 및 모더니즘(Modernism)형성
 5.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연화 Kim, Youn Hwa. 홍익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