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Learning Styles of the Interior Design Students and their Attitudes and Aptitudes toward Major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learning styles of the interior design stu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ir attitudes and aptitudes toward major. Data from the survey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rom 303 participants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 administerd. Findings indicated that; 1) students tend to be accommodator dominantly in learning styles, 2) overall positive attitudes and aptitudes toward major, 3)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s and aptitudes according to learning styles, sex, previous experience of art education and fine arts test to enter college. More specifically, students with accommodator type did better in studio class and men reported overall higher attitudes and aptitudes toward major compared to women. Senior students tend to have higher intention to transfer to different major and negative expectations to their current major. Previous experience of art education and fine arts test to enter college were major factors to determine aptitudes toward major. Development of teaching strategies that incorporate students' preferred learning styles and comparison with the students' learning styles in related areas such as architecture were recommended for future study. Also, consideration of the factors that affect attitudes and aptitudes toward major found in this study in discussing and evaluating curriculum,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merging of departments were addressed.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실내디자인전공 학생들의 학습유형과 전공적성 및 만족도를 알아보고, 이들 요소들 간의 상호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실내디자인전공 남녀 대학생 303명을 대상으로 학습유형, 전공적성, 전공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유형에 있어 전공에 따른 지배적인 학습유형이 있었으며, 직접해보고 모험을 좋아하며 직관적 문제해결방법을 선호하는 적응자유형이 가장 많았다. 둘째, 학업성취도에 있어 설계스튜디오과목이 가장 흥미롭고 성적이 뛰어나며, 이론수업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지배적 성향인 적응자유형과 입시 실기시험 및 입학 전 전문미술교육경험이 있는 경우, 설계스튜디오수업에 대한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셋째, 전공적합도와 전공적성에서 대체로 긍정적인 의견이었으며, 성별, 입시실기고사, 입학 전 전문 미술교육경험 여부, 학습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넷째,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전공에 만족하였으나, 고학년에서 전과의사가 높고 입학 후 전공에 대한 기대치가 저하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전공적성과 만족도 전반에 걸쳐 남자가 여자보다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유형은 학업성취도와 전공적성에는 영향을 끼친 반면, 전공만족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전공적성도가 높을수록 전공에 대한 만족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로서, 실내디자인전공 학생들의 학습유형과 부합된 구체적인 교수법 개발과 기타 인접학문분야 전공자들과의 학습유형에 대한 비교연구가 제안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관찰된 전공만족도에 있어 고학년에서 두드러진 저하 현상 및 성별에 따른 차이, 전공적성에 있어 입시실기시험과 입학 전 전문미술교육의 영향에 대한 요인 분석을 통하여 교과과정과 입시제도, 그리고 유사전공간의 학제적 통합에 대한 총체적 논의와 제고가 요구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2. 연구 방법 및 내용
2. 이론적 배경
2.1. 학습유형
2.2. 학습유형과 전공적성 및 만족도 선행연구
3. 연구결과
3.1. 조사대상의 일반적 사항
3.2. 학습유형
3.3. 전공 적성
3.4. 전공 만족도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