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보석 내포물 형태의 이미지를 활용한 장신구 디자인

원문정보

Personal ornaments using the forms of jewelry inclusions

정양희, 송인익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ewelry is a product that comes from nature. Its high pressure and temperature conditions, and hundreds or thousands years of nature's phenomenon and the last trimmed by a human's hand give birth to 'jewel'. Jewel can be roll as value of wealth, but it can be use by accessory too which highlight the charms of jewels. In addition, attributes of metals and gemstones are similar to each other which are in a long time they do not change. Depending on the type of jewelry, they can be the same in appearance, but the gem's inclusions cannot be the same. Inclusions that can discriminate based on the type of jewelry and jewelry with natural gems, synthetic stone, and imitation stone in diagnose are an important way to distinguish. An inclusion in a gem in long time was created naturally from nature. Therefore, the work comes to those who create and study may be sufficient to show that design elements. Among the gems of their inclusions, which represented a unique personality, a unique form of the aesthetic properties of the inclusions is shown. By using specialized scientific instruments such as microscopes to observe the inclusions, but inclusions of these microscopes can also touch by hand while watching them, more easily accessible forms and kinds to help them take advantage of the image in the form of inclusions, plastic shapes and colors relate to the ornaments and try the operation, he presented a theoretical compliant. Based on the inherent structure in nature, exploring the image and design jewelry by combining with the deployment of the body functions and increase its effectiveness with harmony in the form of shape were pulled into a freedom. Inclusions were classified as structural and morphologically, and then presented each with a unique mark of jewelry. Carefully observed in the enlarged format, by taking advantage of its shape, such as to emphasize certain parts of the transformation process was applied to the decorations. Came into the modern age, means of a variety of concepts have been produced accessories those containing your personality, your own contribution, and so on to participate. For the modern jewelry, the works to be displayed in the selection of materials and techniques have been broadened. The work material of inclusion gem tighten to the shape of the fluid, natural images and as the adequate representation of various colors are available in everyday life, A cross-stitch technique which everybody can be applied to was applied. In this paper, presented concept of inclusion jewelry, and it complies with the material alteration of the image, work practices through a diversity of techniques presented, discussed future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한국어

보석은 자연으로부터 오는 산물이다. 그것은 고온, 고압의 자연 조건 및 수백, 수천 년을 자연 현상들과 함께하면서 사람의 손으로 발견되고 다듬어져 ‘보석’이란 이름으로 태어난다. 보석은 부의 가치로도 활용되지만 장신구와 서로 상응하면서 각각의 매력을 더 부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오랜 세월 변하지 않는 특성에 있어서 금속재료와 보석은 서로 닮아있다. 보석은 가공의 형태에 따라 생김새는 동일할 수 있지만 그 보석이 내포하고 있는 내포물까지는 동일할 수 없다. 내포물은 보석의 종류를 감별할 수 있는 근거가 되고 보석 감별에 있어서 천연 보석과 합성석, 모조석을 판별해 낼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다. 내포물은 보석과 함께 오랜 시간 속에서 자연으로부터 생성되었기 때문에 그 자체가 자연이다. 그렇기 때문에 작품을 제작하고 연구하는 사람들에 있어서는 충분한 디자인적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보여 진다. 내포물 중 그 보석의 고유한 개성을 나타내어 주는 독특한 형태의 내포물들은 미적인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현미경 등의 전문 과학적 기기들을 사용함으로써 관찰할 수 있는 내포물이지만, 이러한 내포물들을 현미경 밖으로 끌어내어 눈으로 보며 손으로 만져볼 수도 있으면서 보다 쉽게 그 형태들과 종류들을 접할 수 있도록 내포물 형태의 이미지를 활용, 형태와 색채를 조형적으로 장신구와 결부시키는 작업을 시도, 그에 대한 이론적 준거를 제시하였다. 자연 속에 내재된 구조를 바탕으로 이미지를 모색하고 디자인을 전개하여 장신구와 접목시켜 신체의 기능이나 조화로움을 위하고 그 효과를 높여 형태의 이미지를 조형적인 자유로움으로 끌어내려 하였다. 내포물을 구조적, 형태적으로 분류하여 각 보석의 독특한 흔적들을 제시하고 세심하게 관찰하여 확대된 형식으로 그 형태를 활용하여 특정부분을 강조하는 등의 변형 과정을 장신구에 적용하였다. 현대로 오면서 본인의 개성이 담긴, 본인이 직접 참여하는 기여도 등에 대한 다양한 개념의 의미로 장신구가 제작되고 있다. 현대 장신구에서는 표현하고자 하는 작품을 위해서 소재와 기법의 선택 폭도 넓어졌다. 작품 소재인 보석 내포물의 유동적이고 자연스러운 이미지 형상과 다양한 색상을 적절하게 표현함에 있어 일상생활에서 흔히 구할 수 있고 누구나 표현 가능한 실을 소재로 하여 십자수 기법을 응용하는 시도를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보석 내포물의 개념 및 사례를 제시하고, 그에 준거하여 이미지 변용과 재료, 기법의 다양화를 통해 작업한 사례들을 제시, 향후의 가능성 및 과제를 논하였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 방법
 2. 보석 내포물에 대한 문헌연구
  2.1 보석 내포물의 개념
  2.2. 보석 내포물의 형태 분류
 3. 보석 내포물 형태를 응용한 장신구 디자인
  3.1. 형태를 연상시키는 내포물
  3.2. 연구 작품제작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양희 Jung Yung Hee. 대구가톨릭대학교
  • 송인익 Song In Ik. 대구가톨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