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Differences in Motivations and Benefits Among Groups Classified by the Personal Meanings Towards a Dark Tourism Site : Focused on the Historic Park of Geoje POW Camp
초록
영어
In spite of increasing interest in dark tourism, few has investigated this phenomenon from the visitor perspective. thereby limiting our full understanding of i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the symbolic meanings assigned to the Historic Park of Geoje POW Camp and core elements of the visitor experience(i.e., motivation and benefits). To accomplish the aim,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on-sit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convenient sample of visitors from April 2, 2011 to April 10, 2011. The findings were: firstly, visitors put the least importance on the motivation directly related to the Geoje POW Camp itself(e.g., Korean War, lives of prisoners);secondly, they got such benefits as rest and social relations improvement as well as increased knowledge on Korean War and affective empathy with the victims; thirdly, visitors' motivation and benefits obtaine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classified by the symbolic meanings assigned to the Park. Discussion and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escribed along with future research suggestions.
한국어
다크투어리즘에 대한 관심 증가에도 불구하고 방문객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들은 많지 않아 이러한 관광형태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저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거제포로수용소에 대해 방문객들이 부여하는 의미와 방문객 경험의 핵심(방문동기, 편익) 간 관계를 살펴보고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편의추출법에 의거 추출한 표본을 대상으로 자아기입 설문지를 활용한 현지조사를 2011년 4월 2일부터 4월 10일까지 실시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방문객의 방문동기의 강약정도에 있어 거제포로수용소의 존재 이유(한국전쟁, 포로수용)와 관련된 동기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문 경험으로부터 얻은 편익은 “한국전쟁 관련 지식 및 공감 증대”와 “휴식 및 사회적 관계 향상” 모두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거제포로수용소에 대해 부여한 개인적 의미에 따라 분류된 집단 간에는 방문 동기와 편익 측면에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가진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향 후 연구 방향과 함께 제시하였다.
목차
I. 서론
II. 선행 연구의 고찰 및 가설의 설정
1. 다크투어리즘에 대한 관점
2. 다크투어리즘 참가 동기 및 편익의 차이
3. 가설의 설정
III. 연구 방법
1. 측정도구
2. 자료 수집 및 분석
IV. 분석 결과
1. 장소에 대한 개인적 인식에 따른 집단 분류
2. 응답자의 인구통계적 특성
3. 측정 개념(방문동기 및 편익)의 타당성과 신뢰성
4. 가설의 검증
V.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