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漢語動詞의 일한번역에 관한 일고찰-『ノルウェイの森』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f [kango+suru] verb in Japanese into Korean translation - Focusing on『Norwegian woods』-

梁虎聲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respect to Japanese 「kango+suru」 and Korean 「kango+hada」, numerous studies have been made since there was a similarity between「suru」and 「hada」. As many researches conducted so far have focused on the correspondence to 「do (or hada)」 and 「become (or deda)」, this paper rather focused on both the diversity of the correspondence of 「kango+suru」(verb) to Korean verb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ttern of correspondence. For efficiency,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maninly for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Chinese verb based on Japanese Chinese verb. The correspondence of Japanese language to Korean language has been considered in many aspects such as syntax, semantics, characteristics of preceding elements, etc.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Chinese verb consists of Chinese noun and 「suru」, and such Chinese noun represents the lexical meaning of each verb, and 「suru」 features descriptive function combined with Chinese noun and simultaneously represents individually a variety of meanings which preceding elements have. As an analytic result of「kango+suru」from Haruki Murakami's work, 『Norwegian woods』: eight kinds of correspondence patterns such as homomorphic verb, hetero-morphic verb, native tongue verb, adjective, passive verb, causative verb, repetition, and others were categorized and compared, homomorphic chinese word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48%. But, the correspondence other than homomorphic word appeared at 52%. In comparison with the Korean translation of this 「kango+suru」,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1) A verb must be used appropriately in correspondence with target language and preceding noun. (2) Target language rules(customs) must be observed rather than one-to-one correspondent translation in an axis of baseline language.

한국어

일본어의 「한어+suru」 한국어의 「한어+hada」동사는 「suru」와 「하다」의 유사성으로 인해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가 「하다」 또는 「되다」와의 대응관계에만 집중되어 있는 것에 주목하여 「한어+suru」동사와 한국어와 대응양상의 다양성과 각 대응양상의 특징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였다. 효과적인 연구를 위해 일본어의 한어동사를 기준으로 하여 한어동사의 개념과 한어동사를 이루는 구성요소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일본어 한국어의 대응관계는 구문, 의미, 선행요소의 특징 등 다양한 면에서 고찰하였으며 고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한어동사는 한어동사와 「suru」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한어동사는 각 동사의 어휘적 의미를 나타내는 부분이며 「suru」는 한어동사와 결합하여 서술기능을 부여함과 동시에 선행요소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개별적 의미를 나타내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분석 자료로서 무라카미 하루키의 『노르웨이의 숲』작품 중의 「한어+suru」동사를 분석한 결과, 한국어와 대응하는 양상으로 동형동사, 이형동사, 고유어 동사, 형용사, 피동문, 사동문, 중복, 기타 대응 등 8가지 대응패턴으로 나누어 대조 분석한 결과, 동형한어에 대응하는 경우가 48%로 가장 높았다. 하지만 동형 이외의 대응도 52%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한어+suru」의 한국어 번역문을 대조분석을 통하여 다음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목표언어와 선행명사와 호응하는 공기관계에 있는 동사로 표현해야 한다. (2) 기점언어에 대한 일대일 대응번역에서 벗어나 목표언어의 통어법(관습)에 따라야 한다.

목차

1. 들어가며
 2. 선행연구의 검토
 3. 한국어 대응양상
  3.1 동형(同形)한어에 대응
  3.2 이형(異形)한어에 대응
  3.3 고유어(固有語)에 대응
  3.4 형용사에 대응
  3.5 피동에 대응
  3.6 사동에 대응
  3.7 중복 대응
  3.8 기타 대응
 4. 대응어휘 분석
 5. 나가며
 参考文献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梁虎聲 양호성. 대구외국어대학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