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네트워크 관점을 통한 지방정부 재난대응과정의 비교 : 미국의 허리케인과 한국의 태풍 대응사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Comparative Study on Disaster Response Systems of Local Government With Reference to Network Approach

류상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y damages caused by natural disasters are different between Korea and the U.S. while the two countries suffer from similar types of natural disasters. We tried to find answers to the question in differences between the disaster response system in Korea and that in the U.S. and consequent differences in network components and the type of policy network. That is, this study was conducted focused on why Korean local governments and American local governments are different in
forming networks to respond to disasters.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esirable networking method of Korean local governments for effective disaster response.
In the results of case study that compared Korea with the U.S., it was found desirable to improve disaster response networks toward bi-directional open networks with high reciprocity and expansion.
That is, it was considered desirable to enhance bi-directional reciprocity among disaster response organizations and to open doors to other disaster response organizations. Accordingly, it was concluded that it is desirable for Korean local governments as well to establish a bi‐directional open network with high reciprocity and expansion.
Based on the state analysis, empirical analysis and case study, we identified problems in Korean local governments’ disaster response network as follows.
First, local governments’ disaster response system was dualized and disaster response organizations were self‐interested. Second, there was no integrated field command system. Third, information was not exchanged smoothly, there was no network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cooperation among areas for disaster response was weak.
Lastly, the directors of local governments and residents lacked the consciousness of disaster response.

한국어

비슷한 조건의 자연재난에 대해 한국과 미국의 재난피해가 다르게 되는가라는 연구문제에서 시작되어 이러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한국과 미국의 재난대응 네트워크 구성요소와 네트워크 유형의 차이에서 찾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즉 왜 한국 지방자치단체와 미국 지방정부는 재난대응에 있어 네트워크 형성이 다른가에 주목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으로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 모색의 일환으로 네트워크 관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재난대응과정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사례분석결과 재난대응 네트워크에 있어 호혜성과 확장성이 높은 양방향․개방형 네트워크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재난대응 조직간 활발한 상호 양방향 호혜성 향상과 함께 재난대응 조직외부 기관을 개방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따라서 향후 한국 지방자치단체도 호혜성과 확장성이 높은 양방향․개방형 네트워크로 발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사례분석을 토대로 하여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재난대응 네트워크의 문제를 제시해보면, 지자체 재난대응체계의 이원화, 재난대응 기관들의 부처이기주의, 통합적인 현장 지휘체계 미흡, 정보와 인적자원 교류의 부족,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재난대응 네트워크 형성의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재난대응체계와 정책 네트워크에 관한 이론적 논의
  1. 재난대응체계의 네트워크 접근 가능성
  2. 네트워크 관점에서 재난대응과정 분석 가능성
 Ⅲ. 네트워크 관점에서 지방정부 재난대응 과정 분석
  1. 한국 지방자치단체 재난대응과정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 태풍 매미 사례
  2. 미국 지방정부 재난대응과정의 정책 네트워크 분석 : 허리케인 이사벨 사례
 Ⅳ. 지방정부 재난대응 정책네트워크의 문제
  1. 재난대응 네트워크 호혜성 문제
  2. 재난대응 네트워크 확장성 문제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류상일 Sang Il Ryu. 충북대학교 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