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로자 안전보건교육사업 효율성 제고를 위한 진단요인

원문정보

Diagnosis Factor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Work

오영아, 이명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iagnosis factors to improve the efficiency on safety and health education works provided to Korean industrial workers. In order to develop the diagnosis factor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work, the diagnosis model was classified into Problem statement, Activity and Output. To develop the early diagnosis factor was reviewed the literature on the subject. To validate such selected diagnosis factor, Focus Group Discussion to prove the reliability of the contents were composed. To confirm the face validity the interview with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experts was held to study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 and clarify the ambiguous or un-interpretable ite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problem statement category, 22 diagnosis factors were developed into 4 diagnosis categories such as a preliminary examination, education staff and organization, education environment and rules/regulation. Secondly, the activity category was comprised of 12 diagnosis factors with respect to 2 areas of curriculum satisfaction and program evaluation. Finally, for the output category, 10 diagnosis factors were developed into 2 diagnosis areas such as documentation and information share and education effect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 안전보건교육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진단요인을 조사 선정하고, 이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안전보건교육사업 진단요인을 선정하기 위하여 로직(Logic) 모형과 PRECEDE 모델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국내외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조사된 진단요인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질적조사인 산업장 안전보건관리자를 대상으로 초점집단토의(Focus Group Discussion)를 실시하였으며,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선정된 본 연구의 진단요인은 근로자 안전보건교육사업의 영역을 로직(Logic) 모형의 문제진단 영역(Problem Statement), 관리 및 활동영역(Activities), 결과영역(Outcomes)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별로 세부 요인들을 포함하였다. 문제진단 영역은 안전보건교육사업을 실시하기 전에 교육사업을 위한 정보수집을 통해 교육사업의 수준을 결정하고, 내용과 방법을 결정할 수 있는 요인으로 선정되었으며 최종 요인은 총 22개로 선정되었다. 관리 및 활동영역은 교육사업이 계획대로 실행되고 있는지,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지 등 사업 운영상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하기 위해 필요하며, 또한 이 영역은 사업수행 중에 사업을 수정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총 12개의 요인이 선정되었다. 결과영역은 교육사업의 성공여부를 알 수 있는 중요한 기준으로 실시된 교육사업의 성과를 정확하게 판단 해석하도록 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결과영역은 총 10개의 요인으로 선정되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이론적 근거
  2. 연구내용 및 방법
 Ⅲ. 이론적 배경
  1.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실태
  2.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평가 관련요인 선행연구
  3. OECD 안전보건수행 지표
  4. 미국 산업안전보건청(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Administration; OSHA)
 Ⅳ. 연구 결과
  1. 문헌고찰을 통한 근로자 안전보건교육사업 진단요인
  2. 현장조사를 통한 진단요인의 타당도 검증
 Ⅴ. 결론 및 고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오영아 Young A Oh.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 이명선 Myung Sun Lee. 이화여자대학교 보건관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