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타자성과 외재성에 대해 ― 레비나스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L’Altérité et l’extériorité ― autour de Levinas

손영창

대동철학회 대동철학 제53집 2010.12 pp.129-15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et article porte sur la question de savoir comment penser l’altérité de l’Autre à partir de l'extériorité et de la transcendancesans. D'abord, l'Autre, c'est lui qui ne se réduire jamais au Moi. Autrement dit, il ne saurait être placé dans le système du Moi. Tandi que l’Autre est, selon la philosophie moderne, saisissable et conceptualisable par le système, pour Levinas il est défini comme l'altérité absolue. Cela veut dire que l'Autre est éxtérieur à la totalité du Même et aussi caractérisé dans sa transcendance. Or cette altérité lévinassienne n'est pas pensable sans la relation avec l'éthique qui se révèle dans la signifiance. Si l'autre révèle au moi le sens, ce dernier indique la rupture avec la totalité du Moi, c'est-à-dire la logique du pouvoir qui nous fournit l'assurance excluant l'incertitude de l'inconnu. C'est pourquoi pour Levinas, l'extériorité ne signifie pas simplement ce qui reste extérieur au Moi, mais surtout la sphère du sens où le règne du Moi ou du pourvoir pourrait s'effondre. Sur ce point, l'altérité de l'Autre signifie autrement que le Moi ou le mê̂̂me. Cette altérité se révèle dans sa vulnérabilité. Levinas la caractérilse comme la résistance qui n’a aucun pouvoir de la résistance dans le sans-défense, c’est-à-dire la la résistance éthique du non-pouvoir. Le Dire éthique, qui ne fut jamais présent, est lié à la non-indifférence du moi éthique qui se trouve dans le face à face avec le prochain par la démesure de la responsabilité. Par là, le Dire pré-originel trouble le moi et le présent de la conscience, en dépassant toute détermination du dit, qui le recouvre dans la manifestation. Par contre, le dit tente de rendre manifeste le retrait du Dire dans la présence de la conscience et d’annuler sa transcendance dans l’englobement de la cohérence logique de l’argumentation et dans la quête du fondement. Pour surmonter cette aporie, Levinas présente la thématique de la communication ou du discours qui nous permet de prendre en compte la transcendance de l'Autre irréductible au discours. car selon Lévinas la communication est de faire voir comment l'Autre échappant à la thématisation addresse la demande au moi qui ne cesse de le saisir dans le savoir.

한국어

필자는 본 논문에서 레비나스의 타자론을 외재성과 초월성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해명하고자 한다. 먼저 타자는 동일자로 환원되거나 동일자와 동일한 평면에 놓이지 않는 자를 의미한다. 동일자가 인식과 의식 그리고 전체성으로 규정될 수 있다면 타자는 이런 전체성에 포착되지 않는 존재임을 의미한다. 달리 말하면 타자는 동일자의 논리 혹은 전체성의 논리와는 다른 의미의 논리성으로 자신을 드러낸다. 이를 레비나스는 타자성이라 부른다. 이러한 타자성은 동일자의 전체성이나 그것의 힘의 논리와 다르다는 점에서 윤리성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레비나스에게서 타자성은 윤리성이고, 권력과 다르게로 즉 ‘저항할 수 없는 자의 저항’이나 연약함으로 표현된다. 그리고 이를 레비나스는 ‘존재와 다르게’라고 부른다. 하지만 ‘존재와 다르게’는 존재의 절대적 외부를 지시한다는 점에서 해석상의 어려움을 갖고 있다. 왜냐하면 만일 ‘존재와 다르게’가 절대적 외재성으로 규정될 수 있다면, 철학적 담론, 혹은 이성의 담론 속에서 해명되고 명확히 이해된 ‘존재와 다르게’는 이미 내재화되거나 상대적인 외재성일 것이다. 그러기에 절대적 외재성을 개념이나 체계 속에서 주제화 할 수 없다. 오히려 외재성의 강조가 은폐되거나 단지 우리의 인식능력을 넘어서는 비규정적인 존재를 의미하는 것이라기 보다 타인의 외재성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필자는 레비나스가 강조한 대화의 개념에 주목하고자 한다. 레비나스에 의하면 대화는 흔히 정신간의 소통이나 인식 상의 합의가 아니라, 인식활동이 행하는 주제화와 개념화를 끊임없이 비껴가는 대화상대자의 출현에 의해서 가능해진다. 즉 나에게 말을 건네고 나를 부르는 대화상대자가 대화의 가능조건이다. 대화를 이렇게 규정함으로써 레비나스는 타자성을 단지 개념체계나 철학적 담론과는 다른 방식으로 그것의 외재성을 끊임없이 드러내고자 한다. 요컨대 이 외재성을 통해 그는 철학적 담론이 망각하고 있던 타자와의 대면, 그리고 그의 부름이 발생하는 계기를 보여주고자 한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2. 대면(le face-à-face)
 3. 담론과 그것의 외부
  가. 말함과 말해진 것
  나. 타자의 언어의 가능성으로서 대화와 인내
 4. 결론
 참고문헌
 Résumé

저자정보

  • 손영창 Son, Young chang. 부산대학교 철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