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예비 초등 교사를 위한 미술 프로젝트: 이해를 목적으로 한 미술, 삶을 위한 미술, 삶과 연관된 미술

원문정보

Art Project for Non-Art Major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rt for Understanding Self-Identity, Art for Life, Art Connected with Life

김미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children's artistic experience is significant. Ironically, however, man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afraid of art and their own art skills, and they also feel uncomfortable to teach art. According to short surveys as a pilot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an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efined art mainly as the expression of one's feelings and thoughts. Therefore, their way of defining art made them think that it would be important to have skillful art techniques to be good at art and teach art well. However, they cannot master enough art skills taking a few art education courses. Then how can we, higher art educators can help thes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vercome their fear on lack of their art skills and be confident in teaching art. In this paper, one art project, “Identity Photo Project for Life” is introduc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developing this project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s explained and how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is also described in detail. The reseults of this project shows significant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s' attitude toward art, art-making, and teaching art. After this project, they expressed that they began to understand art as art for life instead of art for itself and they showed their spontaneous intention to make more art works continuously in the future. The study also address the issue of developing the current curriculum in art education to help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more actively.

한국어

본 연구는 초등 미술교육이라는 강의를 통해 만난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 표현 기능 부족에 대한 불안감, 그로 인한 미술 교수에 대한 두려움의 원인을 찾고 그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방안으로 이론적으로는 “이해로서의 미술”과 “삶을 위한 미술”의 의미를 살펴보고, 실천적 방안으로는 “삶을 위한 미술 프로젝트: 미술을 통한 자기 정체성의 이해”라는 예비 초등교사들을 위한 미술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과 결과를 소개한다. 아동의 미술 경험에 예비 초등교사들이 끼칠 수 있는 영향력, 중요성을 생각할 때, 현재의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점검과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의 논의는 구체화될 필요성이 크다. 이 연구에서 소개되는 정체성 이해 프로젝트는 앞으로 예비 초등 교사들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목차

요약
 표현으로서의 미술/이해로서의 미술
 삶을 위한 미술표현
 삶과 연관된 미술교육의 필요성
 자기 정체성 이해 프로젝트
 1단계: 자기 정체성 지도(identity-map) 만들기
 2단계: 표현 계획 세우기
 3단계: 표현하기
 4단계: 작품완성과 작품설명
  사례 1: 직업 정체성
  사례 2: 건강 정체성
  사례 3: 나이와 정체성
 논의 및 시사점
  (1) 미술에 대한 새로운 시각
  (2) 자신의 아이디어를 더 효과적으로 표현해내기 위한 능동적 노력
  (3) 후속 미술 활동에의 욕구
  (4) 자기 평가 그리고 자기 발전을 위한 능동적 계획세우기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미남 Mi-Nam Kim. 춘천 교육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