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aims at examining the ethical dimension of 'sensation(vedanā' in the Pali Nikayā of Early Buddhism. The Buddha analyzes a sensation and develops a strategy in order to obtain happiness(nibbanā. The Buddha uses several categories in analyzing sensations. The primary category among them is to divide sensations into three in terms of pleasure and unpleasure. He divides all sensations into a pleasant sensation(sukha vedanā, an unpleasant sensation(dukkha vedanā, and a neutral sensation (adukkhamasukha vedanā. The goal of the strategy to sensations is to destroy greed, anger/hatred, and confusion that exist in the three sensations respectively. 'Ceasing sensation' emphasized by the Buddha also means to destroy these three unwholesome minds.
We seek for a pleasant sensation. According to the Buddha, a pleasant sensation is not a true sensation but a low. For a pleasant sensation finally leads us to suffering. The Buddha understands pleasant sensations hierarchically. Better pleasant sensations are obtained from the various stages of the jhāic meditations. The best one is the pleasure of the final ninth jhāic meditation(nirodha-samāatti) which is the status of the cessation of perception and sensation(saññサāvedayita-nirodha).
In the status of the cessation of perception and sensation in the ninth jhāic meditation, one destroys greed, hatred, and confusion throughly. Consequently, he/she gets the highest pleasure(sukha). Yet he/she is completely free from sensational desires and pleasures.
From an ethical perspective, the one who destroys greed, hatred, and confusion reaches at the point of moral perfection. He/she does not have immoral dispositions at all because he/she dries up the source of all evils, namely, the three unwholesome minds. His every action means happiness because his all di spositions are in accordance with morals. This status is similar to not the status of enkrateia but of sophrosune in Aristotle's ethics. Destroying the three unwholesome minds means neither total acceptance of sensation nor rejection of sensation. The gist of destroying the three minds is to feel only given sensations by external objects. In order to do so, we need to see the qualities of sensation raised by them as they are(yāhabutha). Also, we need to be sensitive to whatever happens. That is why we are required to be mindful. At this point, we can adopt various meditations.
한국어
본 논문은 초기불교 팔리어 경전에 나타난 감각(vedanā)에 대한 분석과 전략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감각에 대한 전략의 윤리적 차원을 탐색한다. 필자는 붓다의 감각에 대한 분석과 전략이 윤리의 최고 목표인 행복(nibbāna)으로 귀결된다고 본다. 감각에 대한 붓다의 전략이 목표로 삼는 지점은 도덕적인 완성의 자리이기도 하지만 행복성취의 자리이기도 한 것이다.
붓다는 감각을 여러 가지 방식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가장 기본적인 방식은 쾌고라는 기준에 의한 것이다. 그에 의하면 인간의 모든 감각은 즐거운 감각(sukha vedanā), 괴로운 감각(dukkha vedanā), 그리고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감각(adukkhamasukha vedanā)으로 분류될 수 있다. 감각에 대한 전략의 핵심은 세 감각 각각의 배후에 있는 탐욕(rāga, ), 성냄/혐오(dosa, ), 어리석음(moha, )이라는 나쁜 성향을 지멸시키는 것이다. 붓다가 말하는 "감각의 지멸"도 (감각자체의 지멸이 아니라) 세 감각 배후의 탐진치 지멸을 의미한다.
보통 우리가 추구하는 것은 여섯 감각기관을 통한 즐거운 감각이지만 붓다에 의하면 이것은 추구할 만한 진실한 즐거움이 아니며 저급한 것이다. 이것은 그 무상성으로 인하여 오히려 고통의 원인이다.
붓다는 즐거운 감각들을 위계적으로 파악하여 선정 속에서의 즐거움(sukha)을 높게 보며 그 중에서도 아홉 번째 선정, 즉 멸진정(nirodha-samāpatti)에서의 즐거움을 가장 높은 즐거움으로 본다. 생각과 감각지멸(saññā-vedayita-nirodha, )의 멸진정의 상태에 있는 사람은 탐진치를 완전히 지멸시켜 최고의 즐거움을 느끼지만 감각적 욕구나 감각적 즐거움에 의해 속박 받지 않는다.
세 감각의 배후에 있는 탐진치를 지멸함으로써 행복에 도달한 사람은 윤리적 관점에서 볼 때 도덕의 완성지점에 이른 사람이다. 그는 탐진치라는 성향을 지멸시킴으로써 모든 악의 근원을 뿌리뽑은 사람이기 때문에 비도덕적 성향을 갖지 않는다. 자신의 성향은 항상 도덕과 합치하기 때문에 그(녀)에게 있어서 도덕적 행위는 그 자체가 행복을 의미한다. 그가 도달한 이러한 도덕적 상태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절제(sophrosune)-억제(enkrateia)가 아니라-의 상태와 유사하다.
탐진치 지멸은 감각에 대한 증폭적인 수용도 아니지만 감각에 대한 무감각은 더더욱 아니다. 세 가지 감각은 일차적으로 외부대상에 의해 야기되므로 대상에 의해 촉발된 만큼만 느끼는 것이 탐진치 지멸의 핵심이다. 이를 위해서 대상이 갖는 속성에 대하여 여실하게 보는 것(yathābhūta)이 필수적이며 상황에 대하여 셈세한 감수성을 잃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이 시점에서 주의집중의 깨어 있는 상태의 습관화가 요청되며 여러 가지 명상법들이 유용하게 활용된다.
목차
1. 머리말
2. 연기설에 있어서 감각: 지멸의 대상
3. 감각에 대한 분석과 즐거운 감각의 위계성
4. 감각의 속성에 대한 성찰과 대응전략
5. 감각에 대한 전략의 귀결 : 닛바나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