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La philosophie derniè de Merleau-Ponty demeure tacite relativement en comparaison de la philosophie premièe. On dit que il a travailléàconvertir le systèe phéoméogique en le systèe ontologique il y a quelque ans avant sa mort. On peut savoir par quelque phrases dans sa note àtravail en 1959 que il a déouvu la limitédu systèe phéoméologique, que il a travailléàéhapper la prison de la conscience. Mais ce projet ontologique de Merleau-Ponty n'etait pas réliséen ses travaux systèatique àla fin àcause de sa mort soudaine en 1961. Au minimum Je veux donc montrer cette conversion ontologique par le chiasme de la chair qui joue le role du seuil dans sa ontologie. L'idé de la chair est un symbol concret que il a pris àdéasser la dichotomie de sujet-objet depuit la philosophie cartéienne. Malgréque Merleau-Ponty a la mentionnécomme l'ééent originaire dans la philosophie de nature préocratuque, elle n'est pas l'idé du hylozïme mais est signifécomme la corporétéoriginaire en sens que la chair peut êre transforméen les fugures et les structures variés. Ces transformations de la chair ne sont rélisables que par mouvement du chiasme. Le mot du chiasme est venu de l'emploi de la rhéorique dont il signifie l'arrangement entrecroiséde deux phrases. Merleau-Ponty a pris l'idé de l'allochire de Husserl et a éendréàeclaircir le paradoxe du altéité c'est àdire le phéomèe de l'echange instable du regard entre le Je et l'autre. iI s'appelle une identitéqui se figuire en chair. En plus Merleau-Ponty a dit que le corps ou la chair a ééla puissance anonyme depuit sa pensé premièe de mêe cause que Nietzsche a dit que le corps a consistéde l'entrelac de forces positives et rêctives.
Le vecteur de ces forces est la puissance que Merleau-Ponty a mentionnécomme l'essence du corps. Cette homologie entre la puissance de Merleau-Ponty et de Nietzsche signifie que Merleau-Ponty aussi a recherchéla géélogie du sujet de mêe que Nietzsche a fait. En concluson, il a déasséla limité� du systèe phéoméologique par sa géélogie ontologique et a enfin délaréla mort du humain, que l'éprit du humain n'est plus de cogito cartéien, de conscience transcendentale, mais des plis topologiques dans le corps.
한국어
메를로-뽕띠가 죽기 전 9년 간의 철학적 여정은 그의 체계적인 저작들의 부재로 상대적으로 침묵 속에 남아 있다. 그의 파편적인 작업 노트를 통해서 우리가 그나마 분명하게 알 수 있는 것은 그가 현상학적 체계에서 존재론적 체계로의 전환을 꾀하려 했다는 것인데, 본고는 이러한 그의 존재론적 전환을 살의 키아즘을 통해서 모색하는 하나의 존재론적 퍼스펙티브이다. 전기에 그는 익명적 신체를 근원으로 하는 현상학적 체계를 전개시켰던 반면, 후기에 그는 신체의 코기토적 성격을 거세하기 위해 신체라는 용어와 더불어 살이라고 하는 존재론적 상징을 사용하게 된다. 고대 자연 철학의 원소들과 유사한 상징인 살은 다양한 형태와 구조들로 변형될 수 있는 근원적인 유형성을 의미한다. 살은 전기의 철학에서 그가 고수할 수밖에 없었던 주체와 대상의 이분법을 넘어서는 하나의 존재(Êre)를 구현한다. 현상학적 체계에 고유한 선험적 의식 대신 유물론적인 냄새가 나는 이러한 신체나 살을 강조함으로써 그는 전기의 데카르트적 잔재를 완전히 떨어낸다. 그는 전기에서부터 천착했던 이중 감각(allochire)을 발전시켜 나와 타자의 교환적 응시 현상을 언급했는데, 이러한 나와 타자의 교차 배어(키아즘)를 통해서 형태지어지는 일종의 동일성을 살이라고 칭했던 것이다. 구조주의자들이 말하는 구조 변형은 이러한 살의 키아즘에 의해서 설명 가능하다. 동시에 우리는 신체를 익명적 힘이나 고유 운동성으로 해명했던 전기의 사상을 계승하면서 그의 살 개념을 니이체의 긍정적 힘과 반동적 힘의 얽힘으로 재해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재해석은 데카르트의 성찰 이래로 선험적으로 생각되었던 의식을 반동적 힘의 계보학적 생성에 불과한 것으로 해체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니이체나 들뢰즈와 마찬가지로 메를로-뽕띠는 의식에 대한 신체의 우위성을 거론함으로써 인간(초월적 의식)의 죽음을 선언한 셈이다.
목차
Ⅰ. 메를로 - 뽕띠 후기 철학의 애매성
Ⅱ. 살이라는 존재(Être)
Ⅲ. 키아즘
Ⅳ. 힘들의 얽힘
Ⅴ. 주체의 계보학적 위치
Ⅵ. 맺음말
참고문헌
Resu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