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본능-행위로서의 종교적 행위

원문정보

Religious practice as Instinct-action

하영미

대동철학회 대동철학 제44집 2008.09 pp.287-311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razer explains the magical actions of primitive tribes by the principles of sympathetic magic. It is his thought that because the primitive lacks of the scientific understandings of world, they happen such actions, and tried to settle anxiety about a mighty of nature by way of them. Frazer considers that the primitive's ritual actions rest on the belief that they can manipulate the power of nature and control phenomena of nature by means of magical rituals. This kind of approach is scientificism or instrumentalism, but Wittgenstein criticizes it strongly. Wittgenstein not only rejects attempts that one gives theoretical explanation to magical rituals, but regards such attitudes as superstition. Because of refusal on instrumentalism, Wittgenstein's position has been regarded as expressivism for a magical and religious practices traditionally. Religious rituals enable us to be let out our desires, wishes, expectations and joy, according to expressivism. But Wittgenstein's position cannot be regarded as expressivism and we can see this through his mentions. Further he rejects all sorts of theories and explanations on magical and religious practices. He calls a magical and religious practice an instinct-action. Language and thought activity are contained in primitive actions also. We cannot demand to justify primitive actions, whatever anything. Therefore, we cannot request to justify magical and religious practices and give theoretical explanations. What we are able to do is only to describe on facts and materials. Descriptions show nature of magical and religious practices, Wittgenstein says.

한국어

프레이저는 원시 종족들의 주술적 행위를 공감주술의 원리로 설명하고 있다. 그는 원시 종족들의 이러한 행위는 세계에 대한 과학적 이해가 결여되었기 때문이며, 따라서 문명의 진보가 없는 원시사회에서 자연의 힘에 대한 불안을 주술적 의식을 통해 해결하려고 했다고 본다. 프레이저는 원시 종족들의 주술적 행위는 이를 통해 자연의 힘을 조작하고 자연 현상을 조절할 수 있다는 믿음에 근거한 것이라고 한다. 이런 식의 접근을 과학주의적, 혹은 도구주의적 접근이라고 하는데 비트겐슈타인은 이를 강력히 비판한다. 비트겐슈타인은 주술적 종교적 행위는 견해가 개입될 수 없는 것이기에 종교적 행위를 이론적으로 설명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거부하며 이런 태도를 미신이라고 한다. 도구주의에 대한 거부 때문에 전통적으로 주술적 종교적 행위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입장을 표현주의로 이해해왔었다. 종교적 의례를 우리의 소망, 기대, 환희 등의 표출로 간주하는 것이 표현주의이다. 하지만 비트겐슈타인의 견해를 표현주의로 간주할 수 없는데 그것은 그의 언급을 통해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그는 주술적 종교적 행위에 대한 어떠한 설명이나 이론도 거부한다. 그는 주술적 종교적 행위를 본능-행위라고 한다. 그가 본능 행위로 간주하는 것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 언어 활동, 사유 활동도 포함된다. 이런 본능적 행위에는 어떠한 정당화도 요청할 수 없다. 따라서 주술적 종교적 행위에도 정당화를 요구할 수 없으며 이론적 설명을 제시할 수 없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사실들, 자료들에 대한 기술(記述)이다. 비트겐슈타인은 기술을 통해 주술적 종교적 행위의 본성을 볼 수 있다고 한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면서
 2. 프레이저 비판
  2.1 주술(magic), 종교에 대한 프레이저의 이해
  2.2 프레이저식 과학주의에 대한 비판
 3. 주술적 행위에 대한 표현주의적 관점
  3.1 표현주의
  3.2 표현주의 비판
 4. 본능행위로서의 종교적 행위
  4.1 무목적적 본능 행위
  4.2 단지 ‘기술(記述)’할 뿐
 5. 나오면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하영미 Ha, Youngmi. 부산대학교 철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