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20세기 초엽 천도교의 인내천 교의 및 심성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원문정보

关于20世纪初叶天道教人乃天教义及心性论的批判性研究

황종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이 글은 1900년대 천도교 인내천 교의 및 심성론의 내용을 분석하고 인내천과 19세기 시천주 사상, 그리고 인내천과 계몽, 개화, 자강 노선 사이의 관계 문제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손병희의 초기 저작에서는 한울님이 만물 생육의 주체라는 점, 한울님이 자연 생명운동의 기운으로 현현된다는 점 등이 적극적으로 논의되어 19세기 시천주의 교의를 충실히 계승하고 있으나 「무체법경」에 이르러서는 한울님의 인격성이 형식화·약화되고 氣 개념의 본래적 의미가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다. 「무체법경」에서 주로 心을 설명하기 위해 쓰이는 氣는 내 안의 한울 본체를 뜻하는 性理 개념과 한 쌍을 이루고 있다. 손병희는 性理가 자신 안에 心氣를 간직하고 있고, 性理 자신의 펼쳐짐에 의해 心氣가 형성된다고 설명하는데, 이는 최제우가 제시한 神靈과 氣化라는 한울의 두 모습을 응용한 것이지만 氣를 마음의 범주 안에 가두고 있다는 점에서 19세기의 동학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 「무체법경」은 19세기 동학의 한울님이 지니고 있던 세 가지 함의 가운데 내 안의 한울 관념을 중심으로 나머지 함의들을 포섭시키고 있으며, 이 틀을 가지고 性과 心의 세 가지 모습에 대해 체계적인 설명을 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만물이 物情心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울이라 선언될 수 있는 까닭이 최시형처럼 변증법적으로 사유되지 못하고, 양자가 분절적으로 이해되고 있다. 서구 근대문명에 대한 태도의 근본적 변화를 바탕으로 하여 20세기 초엽에 이루어진 천도교의 이러한 교리 수정은 인격적 한울님의 의미를 약화시킴으로써 인간중심적 세계관의 초석을 놓으려 했고, 氣를 마음 안에 가둠으로써 서구적 근대화 노선으로의 전환을 정당화시키려고 했으며, 근대적 가치를 수용함으로 인해 생겨나는 한울, 인간, 자연 사이의 분열의 문제를 불교적 혹은 심학적인 사유방식으로 극복하려 했다는 의미를 지닌다.

중국어

作者在本文中主要辨析天道教的人乃天教义及心性论的内容,并着重探讨了人乃天思想与19世纪的侍天主思想以及啓蒙、開化、自强路線的關係問題。雖然孫秉熙在其早期著作中積極承認天主作爲萬物的造化主體, 呈現爲進行生命運動的"氣", 但在《无体法经》中不仅将天主的人格特征加以形式化和弱化,还忽视气原本所具有的重要内涵。在《无体法经》里,“气”主要用于解释“心”;“性理”则是我内心中的天主本体,二者便形成一对相对的概念。在性理与心气的关系问题上,孙秉熙解释说,性理在自身中隐藏心气,性理展现自己,便构成心气。这无疑是对崔济愚天主既显为神灵又显为气化说的发挥,但气总是在心的范围之内,正是在这一点上,天道教的心性论与19世纪的东学之间有很大的区别。另外,19世纪东学的天主观念本身有三重含义,而孙秉熙在《无体法经》中将我内心中的天主作为中心,统摄其他的含义,并运用这一思维架构系统地解释了“性”和“心”的三重面貌。但在这一过程中,他不能像崔时亨那样运用辩证思维来解释万物虽有“物情心”却被宣称为“天主”的理由,只能把心中的天主与物情心分而为二。20世纪初叶天道教教义的修正首先来自于当时该教团的领袖对西方近代文明的态度变化。他们将天主的人格特征加以弱化,要树立人类中心主义的世界观;将气概念关在心的范畴之内,要证明西方近代化路线的正当性;他们还运用佛教乃至心学的思维方式来解决接受一些近代价值观念而必然产生的天主、人、自然的分裂问题。

목차

Root
 요약문
 1. 머리말
 2. 人乃天과 侍天主
 3. 性理·心氣와 神靈·氣化
 4. 天·性·心의 세 가지 모습
 5. 맺음말
 참고문헌
 要約文

저자정보

  • 황종원 黃棕源. 중국 북경대학교 한국어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