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觀無量壽經』「序分」의 來源과 의의 고찰

원문정보

A Consideration on Internal Cause and Significance of <Introduction> in ≪Amitāyur-dhyāna Sūtra≫

『관무량수경』「서분」의 래원과 의의 고찰

염중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f ≪Amitāyur-dhyāna Sūtra≫ has settled the tragedy of King Bimbisāra and his family, which is called 'the tragedy of Rājagṛha', as its background. It is very different from the general background of Buddhist sutras, and thus is noteworthy. The superficial reason that the of ≪Amitāyur-dhyāna Sūtra≫ has settled the tragedy of Rājagṛha as its background seems to reveal the human pains in the Dirty Land more drastically to lead the people to hate this Dirty Land and hope the Pure Land, for it is the sutra to preach the Paradise Pure Land. But, it cannot give the full validity in its settling of the tragedy of Rājagṛha as its background, because there are no Pure-Land-related sutras except ≪Amitāyur-dhyāna Sūtra≫ dealing with the tragic facts in this world in their . Therefore, we can think about the possibility of another intention in settling the background of the . As we know well, the is based on a historical fact, the tragedy of Rājagṛha. This fact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in the early Buddhism, that is, Devadatta's saṃgha-bheda affair. Thus, the tragedy of Rājagṛha is doubly implicated in the saṃgha-bheda affair as well as in the family history of Bimbisāra. This kind of double aspects suggests us a clue to comprehend the internal cause for the settlement of Rājagṛha's tragedy as the background of . For the approach of this problem, 'the cause of Rājagṛha's tragedy' and 'the relationship with Buddhism' were dealt with and then through this the comprehensive meaning of the was analyzed. As a result, we can find that the is supporting 'the validity of Buddha's conduct' in the saṃgha-bheda affair. Moreover, we can think that it is preaching the 'religious salvation of evil Bimbisāra and Vaidehī' who had committed the evil karma concerning Ajātaśatru but achieved the good karma concerning Buddha. In other words, the seems to exalt Buddha's dignity in relation with the saṃgha-bheda affair and to reveal the religious value of Pure Land Buddhism that everybody can be saved, however wicked he/she may be, in relation with Bimbisāra and Vaidehī.

한국어

『觀無量壽經』의「序分」은 소위 ‘왕사성의 비극’으로 일컬어지는 빔비사라왕 가족의 비극을 배경으로 설정하고 있다. 그런데 이는 불교경전의 일반적인 배경과는 다른 측면으로 주목된다고 하겠다. 『관무량수경』의「서분」이 왕사성의 비극을 배경으로 하는 표면적인 이유는 (極樂)淨土를 설하는 경전으로서 穢土에서의 극단적인 人間苦를 드러내어 예토를 싫어하고 정토를 희구하는 마음을 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이 정도만으로는 왕사성의 비극을 굳이 경의 배경으로 삼는 타당성 확보에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는 『관무량수경』을 제외한 다른 淨土系 경전들에서는 「서분」에서와 같은 비극적인 현실인식이 전혀 나타나고 있지 않다는 점을 통해서 단적인 인식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우리는 「서분」의 배경설정에 또 다른 입각점이 존재할 개연성에 관해서 추론해 볼 수가 있게 된다. 「서분」은 주지하다시피, 왕사성의 비극이라는 역사적인 사실을 기초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는 초기승단의 최대 문제점 중 하나인 제바달다의 破僧事와 밀접한 연관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측면이다. 즉, 왕사성의 비극에는 빔비사라의 가족사 이외에도 파승사라는 승단의 측면이 이중적으로 얽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중적인 측면은 우리에게 「서분」이 왕사성의 비극을 배경으로 하는 내적인 원인파악에 있어서 단서를 제공해 준다. 이의 문제접근을 위해서 먼저 본고에서는 ‘왕사성 비극의 원인’과 ‘불교와의 관계’를 정리하고, 이를 통해서 「서분」의 전체적인 의의를 확보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우리는 「서분」이 파승사와 관계된 ‘붓다의 행위적인 타당성을 옹호’하고, 아사세와 관계되어서는 惡業을 지었지만 붓다와 관계되어서는 善業을 쌓은 ‘惡人 빔비사라·위제희에 대한 종교적인 구원’을 설시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해 볼 수가 있다. 즉, 「서분」은 파승사와 관계되어서는 붓다의 존엄성을 顯揚하고, 악인인 빔비사라·위제희와 관련하여서는 심대한 악인도 구제될 수 있다는 정토불교적인 종교적 가치를 드러내고 있다고 하겠다.

목차

요약문
 1. 序論
 2. 「序分」의 내용과 원인
  가. 「序分」의 내용정리
  나. 비극의 가족적 원인
 3. 「序分」과 불교의 관계
  가. 破法輪僧과 阿闍世
  나. 頻婆娑羅와 붓다
 4. 「序分」의 의의
  가. 붓다와 불교적인 당위성
  나. 빔비사라와 韋提希의 구원
 5.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염중섭 Youm, Jung-seop. 동국대학교 철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