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의사소통과 규약 : 데이빗슨과 더밋

원문정보

Communication and Convention

이상룡

대동철학회 대동철학 제42집 2008.03 pp.149-17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avidson argues that convention is neither necessary nor sufficient for successful linguistic communication, in addition that if language is taken to imply shared conventions, there is no such a thing as a language. But Dummett thinks that if we want to communicate, we should use words in their socially accepted way. And he thinks that only a shared practice can give an answer to Wittgenstein's question what distinguishes following a rule from merely thinking one is following a rule. Davidson and Dummett both insist that verbal behavior is necessarily social. They see that there couldn't be anything like a language without more than one person. They even agree on the underlying reason, namely Wittgenstein's, that it is not possible that there should have been only one occasion on which someone obeyed a rule. Where they part company is in how they think the social environment makes its essential contribution. Dummett argues that conventions are what constitutes a social practice, and to repudiate the role of conventions is to deny that a language is in this sense a practice. On the other hand Davidson argues that convention is not a condition of language but language is a condition for having convention. That is to say there is no fundamental reason why practices must be shared. A crucial observation in discussion of following rules made by Wittgenstein is that the social nature of following rules should be discovered from the following and not rule oneself. The rule exists only in connection inside of the social correlation which is an observance of rule. In order to communicate there should be a portion which agrees between the speakers and listeners. Dummett calls the agreement convention, but it is hard to reduce the convention to rules. Rather, according to Wittgenstein, it will have to call agreement of 'form of life'. Dummett who insists that convention is essential in communication does not fully grasp these Wittgenstein's insights.

한국어

데이빗슨은 언어적 규약이 없어도 의사소통이 가능할 뿐 아니라, 언어가 규약의 공유를 함축하는 것이라면 그런 언어는 없다고 주장한다. 반면 더밋은 의사소통에서 규약이 본질적이라 본다. 그리고 규약의 공유가 있어야 규칙을 따르는 것과 규칙을 따른다고 생각하는 것의 차이점이 무엇인가라는 비트겐슈타인의 질문에 답할 수 있다고 본다. 데이빗슨과 더밋은 둘 다 언어적 행위가 필연적으로 사회적이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한 사람 이상이 없이는 언어와 같은 것은 있을 수 없다고 본다. 또는 오직 어떤 한 사람이 오직 한 번 어떤 하나의 규칙을 따랐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비트겐슈타인의 주장에 동의한다. 이들이 갈라지는 곳은 사회적 환경이 그 본질적 기여를 만드는 방식에 대한 생각에서다. 더밋은 규약이 사회적 실천을 구성하는 것이고, 규약의 역할을 거부하는 것은 언어가 이런 의미에서 실천임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반면에 데이빗슨은 규약이 언어의 조건인 것이 아니라 언어가 규약의 조건이라고 주장한다. 실천이 공유되어야 할 어떠한 근본적인 이유도 없다는 것이다. 규칙 따르기 논증에서 비트겐슈타인이 보여준 결정적 통찰은 규칙 따르기의 사회적 성격이 규칙이 아니라 따르기에서 발견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규칙은 규칙 따르기라는 사회적 상호 관계의 맥락 속에서만 존재한다는 것이다.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화자와 해석자 사이에는 일치하는 부분이 먼저 있어야 한다. 그 일치하는 부분을 더밋은 규약이라 부르는데, 그것은 규칙으로 환원하기 어렵다. 오히려 비트겐슈타인을 따라 '삶의 형태'의 일치라 불러야 할 것이다. 의사소통에서 규약이 본질적이라 주장하는 더밋은 이러한 비트겐슈타인의 통찰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목차

요약문
 1. 규약 없는 의사소통
 2. 데이빗슨-더밋 논쟁
 3. 규약과 실천
 4. 언어의 사회적 성격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상룡 Lee, Sang-Yong. 부산대학교 교양교육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