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단하서요해(丹霞序要解)』에 나타난 기(氣)에 대한 김시습의 견해

원문정보

Kim Si-seup's Views on Material Force in Danhaseoyohae

최귀묵

대동철학회 대동철학 제35집 2006.06 pp.101-120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I attempted to demonstrate that Kim Si-seup(金時習)'s thinking adheres to the theory of the monism of material force and to bring to light the interpretive characteristics of meditative (禪 seon, chan) Buddhism. To this end, the main argument reorganizes Kim Si-seup's views on material force as they appear in Danhaseoyohae(丹霞序要解). In Danhaseoyohae, Kim Si-seup says that the essence of the true nature (眞性 the Buddha-nature) is the negative (陰 eum, yin) material force, while its operation is the positive (陽 yang) material force, so we can see that he views the true nature as an energy(元氣) that combin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material force. The true nature (energy) corresponds to the essence, so Kim Si-seup's thinking adheres to the theory of the monism of material force. In addition, Kim Si-seup stated that the true nature is the origin of an existence that combines sameness and difference (正偏 the absolute and the relative), and this sameness and difference is the negative and positive (eum and yang). This opens up the possibility of interpreting the understanding of Buddhism based on sameness and difference as an understanding of Buddhism based on material force (both positive and negative). Accordingly, it should be made clear that Kim Si-seup's thinking and literature are characterized by a meditative Buddhist realism and based on his thoughts concerning material force.

한국어

이 논문에서 필자는 김시습의 사상이 기일원론(氣一元論)임을 논증하고, 선불교(禪佛敎) 해석상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론에서는 「단하서요해」에 나타난 김시습의 기에 대한 견해를 재구성하여 보았다. 「단하서요해」에서 김시습은 진성(眞性)의 본체(本體)가 음기(陰氣)요, 작용(作用)이 양기(陽氣)라고 하였으니, 진성이 곧 음양이기(陰陽二氣)을 아우른 원기(元氣)라고 보았음을 알 수 있다. 진성(원기)이 본체에 해당하므로 김시습의 사상은 기일원론이다. 또한 김시습은 진성이 정편(正偏)을 아우른 존재의 근원이라고 하고, 정편이 곧 음양(陰陽)이라고 하였다. 정편에 근거한 불교 이해 전반이 기(음양)에 근거한 이해로 해석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 놓은 것이다. 따라서 김시습의 사상과 문학이 선불교적 현실주의라는 특징을 가지게 된 근저(根底)에는 기에 대한 사유가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본다.

목차

요약문
 1. 머리말
 2. 진성(眞性)과 원기(元氣)
  2.1
  2.2
 3. 정편(正偏)과 음양(陰陽)
  3.1
  3.2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귀묵 Choi, kwi-muk.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