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진화론과 도덕발달 이론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f Relation to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and Moral Development

김동규

대동철학회 대동철학 제32집 2005.12 pp.163-18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essay is the study of relation to social evolution and moral development.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is on extension line of theory of social evolution. The character of this essay is preliminary work to explain ethical position in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So to approach theory of social evolution is very important work, because theory of social evolution is the hinge between early thought and after thought of Habermas. Therefor this essay explains, first, relation to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and moral development, and relation to the individual and the social, Second it explains whether the role of evolutional theory is explanation of real historical development or analysis, prediction and explanation of orientation in historical development, And then, this essay will reveal that universal perspective is acquired by mediating social evolution and moral development through the universal pragmatics and ideal speech situation. Finally, this essay considers critically Habermas' thought and it's potential.

한국어

이 논문은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윤리에 접근하기 위한 예비 작업 중 하나로서 그의 도덕발달이론과 사회진화론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고 있다.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윤리는 이전의 사회진화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ꡔ의사소통행위 이론ꡕ 출간 이후 하버마스의 주된 관심이 담론윤리에 대한 해명, 도덕발달 이론과 의사소통 행위, 사회화와 개인화 과정에 대한 해명 그리고 법과 정치이론과의 관계 해명에 있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우리가 지금 살펴보려는 논문의 주제는 하버마스의 전-후기 사상을 이어주는 매개 점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사회진화와 도덕발달이론의 관계 및 맑스의 역사 유물론을 사회진화론적 관점으로 재구성하는 하버마스의 일련의 연구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개인의 도덕의식 발달과정을 해명하는 동시에 사회진화 과정을 해명하고 있다. 우리는 이 논문을 통하여 이 두 과정 사이에 언어적 상호과정의 구조가 있고, 이것이 두 과정을 매개하는 핵심요소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물론 하버마스는 이렇게 해명된 사회진화의 성과가 개인의 ‘사회화’ 과정을 통해 다시 개인의 발달과정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 모든 과정이 마무리되면, 우리는 최종적으로 사회진화와 도덕발달의 방향이 궁극적으로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한 ‘보편적 관점’ 획득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고, 하버마스가 보편적 관점을 획득할 수 있게 하는 기준으로서 보편 화용론과 이상적 담화상황을 제시하고 있다는 사실 또한 알게 될 것이다. 하버마스는 이러한 개념을 사회비판을 위한 척도로 사용하고자 한다. 아무튼 이 논문은 사회화와 개인화의 변증법적 관계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그의 후기 작업에 체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첫 작업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나름의 의미를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비판이론의 정신에 입각하여 하버마스에 대해서도 비판적 입장을 견지해야만 한다. 그래서 마지막 장은 하버마스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남아있는 전망을 살펴보고 있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2. 본론
  가. 도덕발달이론과 의사소통 능력
  나. 역사 유물론과 사회진화
  다. 사회적 정체성과 자아 정체성의 상동성
  라. 진화의 논리와 발전방향
  마. 언어적 상호성의 구조와 보편 화용론
  바. 비판적 고찰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동규 Kim, Dong-Gyu. 경성대학교 윤리교육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