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커뮤니케이션의 구조

원문정보

Structure of Cultural Communication

박만준

대동철학회 대동철학 제30집 2005.06 pp.133-15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order to define cultural communication we first need to define the term culture. Raymond Williams calls culture 'one of the two or three complicated words in the English language'. What is culture? First of all, culture can be used to refer to the things to be made by people. And then, what are made in culture? They are meanings. So we call culture 'signifying practice'. But lived culture is culture as lived and experienced by people in their day-to-day existence in a particular space and at a particular moment in time. And the people who have full access to the culture are those who lived and are living its structure of feeling. We advocate a form of cultural analysis which is conscious that the cultural tradition is not only a selection but also an interpretation. Cultural analysis show other historical alternatives to contemporary interpretation and the particular contemporary values on which it rests. In this way, we are able to make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whole historical structure within which it was expressed and the contemporary structure within which it is used. By working in this way, real cultural process and its structure will emerge. To achieve this we would like to analysis the cultural structure in the third ways as follow; 1) The basic categories of cultural communication 2) Cultural communication 3) The structure of cultural communication

한국어

흔히 우리는 역사와 문화를 이야기할 때 ‘과거와의 대화’라는 말을 자주 사용한다. 한마디로 이는 역사와 문화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말한다. 이른바 문화 커뮤니케이션이다. 그리고 문화 커뮤니케이션은 간단히 말해서 문화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도대체 문화 속으로 들어간다는 것이 무슨 의미일까? 문화 속으로 들어간다는 것은 단순히 물리적 공간 속으로 들어가는 장소 이동이 아니다. 문화 속으로 들어가는 것은 문화와의 만남이며, 이는 곧 문화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문화와의 커뮤니케이션은 단선적 성격의 커뮤니케이션이 아니라, 시간과 공간의 결을 따라 이루어지는 다중적(多重的)․다층적(多層的) 커뮤니케이션이다. 그리고 이것이 이른바 문화 컨텐츠 커뮤니케이션의 구조이자 그 특징이다. 이 글은 이러한 문화 커뮤니케이션의 구조를 관계 범주, 문화적 공간, 문화적 시간 등 문화 커뮤니케이션의 중심 범주들을 통해 밝혀보고자 한다. 특히 문화적 공간과 문화적 시간의 확장을 통해서 문화가 어떻게 생성되어 가는가를 주목한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아비뇽 Avignon 궁정 속으로
 2. 문화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범주
  가. 정의 Definition
  나. 관계 Reference
 3. 문화 커뮤니케이션
  가. 커뮤니케이션
  나. 커뮤니케이션과 ‘관계’ 범주
  다. 문화 콘텐츠 커뮤니케이션
 4. 문화 커뮤니케이션의 구조
  가. 문화 콘텐츠 커뮤니케이션의 공간 구조 : 문화적 공간의 확장
  나. 문화 커뮤니케이션의 시간 구조 : 문화적 시간의 확장
  다. 문화적 시공간과 문화의 만남
 5. 맺음말 : 또 하나의 문화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만준 Park Man-joon. 동의대학교 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