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윤리적 반성과 서사

원문정보

Ethical reflection and Narrative

김정현

대동철학회 대동철학 제28집 2004.12 pp.1-19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narrative approach in the ethical reflection. The standard account of moral rationality which is a dominant paradigm in the modern ethical theory distorts the nature of the moral life. First, It places an unwarranted emphasis on particular decisions and quandaries. By doing so, It suggests that ethical judgments can be justified independent of the agent. Second, It fails to account for the significance of moral notions and how they work to provide us skills of moral perceptions. It attempts to separate our moral notions from their narrative context. This is the reason why the standard account makes it difficult to explain why moral controversies are so irresolvable. Third, It separates the agent from his interests. In other words, it requires that we view our own moral projects and life as if we were outside observers. By correcting these extortions, narrative ethics pursues more desirable ethical reflection.
But does it imply ethical relativism to stress on the agent's perspective(or, the particular stories which form it)? According to Hauerwas, it avoids vicious relativism. Though narrative, which has relative aspects, plays a important role in forming morality, once formed, it is established as something universal required for all human beings, not just those in one society.

한국어

이 글은 윤리적 반성에 있어 서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서사를 윤리 이론에서 배제하려고 했던 근대 윤리학의 표준적 설명 방식은 여러 가지 면에서 우리의 도덕적 삶의 본성을 왜곡한다. 그것은 윤리학을 하나의 결정 이론(decision theory)으로 만들면서 윤리적 판단을 행위자와 별개로 정당화될 수 있는 것으로 제시한다. 또한 도덕적 지각의 형성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도덕적 개념들의 의미를 그들의 서사적 맥락에서 분리하려고 한다. 마지막으로, 표준적 설명방식은 행위자의 도덕적 기획을 행위자로부터 분리하려고 함으로써 도덕적 삶의 본성을 왜곡한다. 서사적 윤리학은 이러한 왜곡을 시정하면서 좀 더 온전한 윤리적 반성을 지향한다. 서사에 대한 강조가 상대주의를 함축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우려가 있다. 하우어와스는 보편성을 지향하는 도덕의 구체적 형태와 내용의 결정에 서사가 기여함을 주장함으로써 자신의 입장이 부정적 상대주의(vicious relativism)를 함축하지 않음을 제시한다. 상대적 성격을 지닌 서사가 도덕의 형성에 작용하지만, 일단 형성된 도덕은 모든 인간에게 보편적으로 요구되는 것으로서의 위치를 지니게 된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면서
 I. 도덕적 합리성에 대한 표준적 설명
  I-l. 표준적 설명과 결정
  I-2. 표준적 설명과 도덕적 개념들
  I-3. 표준적 설명과 덕의 소외
 II. 좋은 이야기의 기준
  II-1. 기준들의 제시
  II-2. 기준들의 검토
 III. 서사적 접근 방식과 상대주의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정현 Kim, Jung-Hyun. 동아대학교 석당전통문화 연구원 선임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