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ura 개념을 통한 하버마스의 뒤르케임 수용과 재구성

원문정보

Habermas' acceptance and reconstruction of Durkheim's theory through Aura

김동규

대동철학회 대동철학 제28집 2004.12 pp.1-23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essay is the critical review that is concerned with process for Habermas to accept and reconstruct Durkheim's moral theory. Durkheim used the concept of Mana concerned with the sacred. Habermas translates Mana into Aura in his work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2.
First, this essay is reviewing his translation. And then in this essay I compares with two positions of Aura that are represented by Benjamin and Habermas. while Benjamin stressed Aura for artistic democratization, Habermas stressed Aura for political democratization. But this essay focuses only on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individualization, communicative rationalization and linguistification of the sacred, So I excluded the process of political democratize in this essay. Instead, I just attend that Habermas reconstruct Durkheim's sociological theory by accepting G. H. Mead's theory and L. Kohlberg's theory. But Habermas' reconstruction project has a few wick point. Therefor I critically review Habermas' theory in my perspective based on the spirit of Critical Theory.

한국어

본 논문은 하버마스가 뒤르케임의 도덕이론을 수용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하버마스는 성스러운 것의 권위와 관련한 뒤르케임의 Mana마나 개념을 Aura아우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 논문은 우선 하버마스의 Mana 개념의 번역에 문제가 없는지를 고찰하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하버마스의 선배 격인 벤야민의 Aura 개념을 하버마스의 그것과 비교 고찰하고 있다. 두 사람이 사용했던 개념상의 차이를 간략히 언급하자면 벤야민이 Aura개념을 ‘예술의 민주화’와 관련하여 사용한 반면, 하버마스는 ‘정치의 민주화’를 위해 Aura개념을 사용했다는 정도로 말할 수 있겠다. 물론 본 논문은 의사소통행위 이론의 규범적 토대, 즉 선언어적 뿌리인 성스러운 것이 언어적으로 합리화되는 과정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하버마스가 어떤 식으로 정치의 민주화를 언급하는 지에 대해서는 논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도덕의 성스러운 토대를 해명하고 사회이론의 규범적 바탕을 설명하기 위하여 하버마스의 뒤르케임 재구성 과정을 􌋢의사소통행위 이론 2권􌋣에 입각하여 추적하는 과정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성스러운 것의 언어화’ 과정을 살펴보는 가운데 하버마스의 미드와 콜버그 수용과정을 부수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사회진화, 사회화, 개인화, 의사소통적 합리성과 같은 다소 익숙한 개념들을 통과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하버마스가 자신의 이론적 기획을 완수하기 위해 이들 사상가를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다소 많은 잡음이 생겨
난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생겨난 잡음을 비판적으로 고찰해보는 것 또한 비판이론의 정신을 훼손하지 않는 일이라 생각하여, 필자는 하버마스를 비판적으로 보는 시각을 소개하고 이에 대해 미진하나마 하버마스를 변호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목차

요약문
 1. 머리말
 2. 아우라의 의미 및 말 쓰임의 역사
 3. 아우라 개념에 대한 벤야민과 아도르노의 이해
 4. 뒤르케임의 마나 개념과 도덕적 권위
 5. 하버마스의 뒤르케임 수용과 해석
 6. 미드와 콜버그를 통한 뒤르케임의 재구성
 7. 성스러운 것의 언어화와 합리화된 윤리
 8. 비판적 고찰
 9. 꼬리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동규 Kim, Dong-Gyu. 부산대학교 철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