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현대독일사회철학과 마르크스와의 관계 1 ― 마르쿠제의 “경제철학수고” 해석과 비판

원문정보

Das Verhältnis zwischen der gegenwärtigen deutschen Sozialphilosophie und Karl Marx I ― Die Interpretation der “Ökonomisch-philosophische Manuskripte” bei H. Marcuse und die Kritik daran

조항구

대동철학회 대동철학 제26집 2004.06 pp.1-2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iese Arbeit beschäftigt sich mit dem Thema, “Die Interpretation der ‘Ökonomisch- philosophische Manuskripte’ bei Marx und die Kritik daran. Marcuse bezeichnet die Geschichte als eine der Entfremdung des Bewußtseins. Den Grund dafür sieht er in der Marxschen Hegel-Kritik der Manuskripte. Er erklärt, daß Marx in der Hegelschen “Phänomenologie des Geistes” dieselbe Geschichtslehre gefunden habe. Diese Lehre hält er für seine eigene. Aus der Analyse der Manuskripte erweist sich die folgenden: Die Hegel-Kritik wurde zur Marxschen Kritik an der Bruno Bauerschen Philosophie “Philosophie des Bewußtseins” geschrieben. Die negative Seite der Hegelschen Dialektik, die Marx gefunden hat, kann als die negative Punkte der Bauerschen Philosophie angesehen werden. Der Begriff “Arbeit” von Bauer wie bei Hegel ist abstrakt und geistig. Beide betrachten den Menschen und das Selbstbewußtsein als ein und dasselbe. Auch die Entfremdung des Meschen könne im Selbstbewußtsein aufgehoben werden. Aus der Analyse der positiven Elementen der Hegelschen Dialektik kann festgesstellt werden, daß Marx einige Wörter materialistisch modifiziert hat, die Hegel eigentlich idealistisch geschrieden hatte. Dadurch kann man sagen, daß Marx seine Geschichtslehre als eine theorie von der Geschichte der Entfremdung als der des Bewußtseins betrachtet hat. In disem Punkt bleibt die These von Marcuse ungültig.

한국어

마르쿠제를 비롯한 초기비판이론가들은 역사를 의식의 소외역사로 보는 근거로서 경철수고의 헤겔비판노트를 거론하였다. 헤겔적 마르크스주의자인 마르쿠제에 의하면 마르크스가 헤겔 정신현상학에서 자기의식의 역사로서의 인간역사의 원천적 의미를 발견했다고 선언하고 그 자신의 역사관으로 수용하였다. 본고는 이 주장의 논거가 된 경철수고의 분석을 통해 다음의 결론을 도출했다. 수고의 헤겔비판노트는 마르크스가 사적 유물론의 토대로서 이용하고자 헤겔철학을 비판한 것이 아니다. 경철수고 “서문”에 나와 있듯이 이 비판은 청년헤겔학파인 브루노 바우어의 자기의식의 철학을 비판하기 위해 이 철학의 직접적 원천인 헤겔철학을 비판하는 것이었다. 경철수고는 포이어바하철학이 적극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헤겔이 아니라 포이어바하주의자인 모제스 헤쓰도 마르크스에게 수고의 중심개념인 “소외된 노동”의 개념을 전달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마르쿠제의 기대와는 달리 수고에서의 헤겔영향은 많이 감소된다. 논의의 전개를 위해 바우어의 자기의식의 철학이 간단히 소개되었고 마르크스가 지적한 헤겔철학의 부정적 측면은 바우어철학의 결함으로 가정하였다. 그 결과 바우어는 헤겔처럼 추상적 정신적 노동만을 알고 있으며 구체적 “인간”을 “자기의식”과 동일시한다. 인간소외의 극복도 추상적인 자기의식안에서 실현된다. 마르크스가 헤겔변증법의 긍정적 측면으로 제시한 구절을 분석한 결과 포이어바하 유물론의 용어로 변조되어서 본래의 헤겔관념론적인 성격대신에 유물론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의식의 소외역사를 자신의 역사관으로 마르크스가 동의한 적이 없었다. 따라서 마르쿠제의 테제는 타당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으며 초기비판이론의 역사관 또한 마르크스의 견해와는 상당히 멀다고 할 수 있다.

목차

요약문
 1. 문제설정
 2. 마르쿠제의 역사이론: 의식의 소외로서의 인간역사
 3. “경제철학수고”의 구조와 내용
  가. 수고의 작성배경
  나. 수고의 철학비판
 4. 결론
 참고문헌
 Zusammenfassung

저자정보

  • 조항구 Cho, Hang-Gu. 경북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