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명이론에 근거한 윤리학 ― 베르그손의 닫힌 도덕과 열린 도덕에 관한 고찰

원문정보

L'Ethique portant sur la the'orie de la vie ― A propos des Deux Sources de la Morale et de la Religion de Bergson

박종원

대동철학회 대동철학 제25집 2004.03 pp.1-19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La théorie bergsonienne vis-à-vis de l'éthique se fonde sur sa théorie de la vie. Il est d'abord à remarquer que les théories traditionnelles de l'éthique en occident correspondent exactement avec les ontologies que les philosophies ont établies sur la nature. Cette attitude vient de ce qu'on tend à comprendre l'homme dans un tout universel qu'est la nature. Fidèle à cette tradition, la théorie bergsonnienne de la morale se développe sur l'ontologie de la vie que ce philosophe présenta dans L'Evolution créatrice. Bergson tente d‘étendre le sens du rationnel en éclairant la
fonction de l'intelligence dans son origine vitale. Sa théorie de la morale peut aussi se comprendre à la base de l'étude génétique qui porte sur la théorie de la vie. Bergson essaie de mettre en pleine lumière le fond des puissances qui régissent l'action humaine. Il montre ainsi comment la morale et la religion se sont formées en divergeant à partir du principe vital et aussi quelle est la fonction vitale qui a entraîné le clôs et l'ouvert. Procèdant du devoir et de la pression la morale close et la relgion statique sont de nature biologique qui représente l'organisation vitale tandis que la morale ouverte et la religion dynamique, portant sur l'amour et l'aspiration, représentent la force vitale qui produit les espèces vivants.

한국어

베르그손의 윤리이론은 생명이론에 근거한다. 서양의 전통적인 윤리이론들은 그것들을 산출한 철학적 이념이 자연에 대해 취하고 있는 존재론과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 태도는 인간의 행동을 지배하는 원리도 자연을 지배하는 원리에 동화시킴으로써 인간을 포함한 자연전체를 보편적 통일성 속에서 이해하려는 경향에서 비롯된다. 베르그손도 이 전통에 충실하다.
그의 도덕론은 창조적 진화에서 제시된 생명의 존재론에 기초하여 전개된다. 베르그손은 지성이란 기능 위에 세워진 서구의 합리성을 지성의 발생적 근원인 생명의 기능에까지 내려가 조망함으로써 합리성의 의미를 확장하고 있는데, 그의 윤리이론도 이런 차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베르그손이 윤리이론에 관해 관심을 가지는 것은 인간의 윤리적 행위의 현상적 분석이 아니라, 인간의 윤리적 행위를 지배하는 힘의 근원을 밝히는 것이다. 따라서 그는 생명적 원리로부터 도덕과 종교가 어떻게 분리되어 발생했으며, 이렇게 분리된 도덕과 종교에서 ‘닫힘’과 ‘열림’을 이끄는 생명적 기능이 무엇인가를 설명하고자 한다. 의무와 강압에 기초하는 닫힌 도덕과 닫힌 종교는 생명의 현실태적 유기화 방식에서 비롯되는 생물학적인 것이고, 사랑과 열망에 기초하는 열린 도덕과 열린 종교는 유기화된 생명적 종들을 산출하는 생명적 힘(도약)의 표현이다.

목차

요약문
 1. 머리말
 2. 도덕적 원리들의 발생적 근원에 관한 베르그손의 방법론의 특성
 3. 닫힌 도덕의 생명적 근원
 4. 닫힌 종교의 생명적 근원
 5. 열린 도덕과 열린 종교의 생명적 근원
 6. 맺음말
 참고문헌
 Résumé

저자정보

  • 박종원 Park, Jong-Won. 건국대학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