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근대의 종교·사상적 동향과 대순사상(大巡思想)의 대두

원문정보

Trends in modern Korean religions and thoughts, and the advent of Daesoon-Thought

윤재근

대동철학회 대동철학 제23집 2003.12 pp.1-2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aesoon-thought is considered as the one that offers the new interpretation of the people who live in the modern society and advocates the new worldview based o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Basically, Dong-Hak, which was a root of Korean religions, was strongly against formalistic Confucianism that governed the whole society of Chosun dynasty, and showed its characteristics towards anti-neo confucianism. However, the people, who severely suffered from the gap between the ideal and real world with deploring their languishment, longed for the emergence of a new leader, since the sprit of Dong-Hak, which was pervaded up to Gab-o-keong-zang, was collapsed before the sword of Japanese forces.
Jeungsan was well aware of people􌋟s thoughts, and provided with them hopes of life in a very active manner. So, his thought showed plebeianism and democratic nature in a certain sense with racialism that tried to recover the collapsed pride of Chosun. Particularly, Cheon-ji-gong-sa, one of his religious thoughts,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ose advocated by other religious thinkers, and shows the positive will that overcomes the difficulties of the world in the religious way.
This paper aims at shedding the light on how Daesoon-thought appeared with the background of late Chosun. For this, the trend appearing in religions and thoughts at the time of late Chosun when Daesoon-thought started, will be examined carefully. Also, based on such a background it will be further investigated how Daesoon-thought has been developed and systemized.

한국어

이 글은 한국 근대에 증산으로부터 시원된 대순사상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하나의 종교가 형성되는 데 있어서는 당시대의 사상적 동향과 사회개혁사상이 시대정신으로 작용하면서 표상체계로 표출된다. 그러므로 대순사상의 형성이 주어진 시대의 단순한 산물이 아니라 일반 민중들의 염원을 수용하여 그들의 의미체계를 상징화한 결과라는 것이다.
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조선후기 사회의 종교적 정황들을 기성의 전통종교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실학과 조선후기 성리학을 중심으로 한 사상적 동향을 간단히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종교사의 지각 변동을 일으킨 동학을 중심으로 한 한국 근대 종교들의 역할과 기대도 아울러 담았다. 그 결과 대순사상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또한 당시대의 일반민중은 물론 현대사회에는 어떠한 메시지를 전달하는가를 살펴보는 데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이 있다.

목차

요약문
 Ⅰ. 서론
 Ⅱ. 조선후기의 시대적 상황
 Ⅲ. 조선후기의 사상적 동향과 대순사상의 대두
 Ⅳ. 대순사상의 형성 과정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재근 Youn, Jae-Keun. 대진대학교 대순종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