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론과 덕교육에 관한 연구 ― 실천이성·욕구·정서·습관의 통합적 관계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ristotle's Theory of Virtue and Virtue Education― concentrate on the integrated relationship with practical reason, desire, emotion and habit

최용성

대동철학회 대동철학 제23집 2003.12 pp.1-27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good implications about the approach of moral education through Aristotle's theory of virtue and virtue education. Up to the sixth curriculum, moral education was initiated by Kantian-style rationalist approach. However, this approach is criticized by virtueoriented educators. They argue that the moral agent is neither raw intellect nor disembodied reasoning but has desire, emotion and habit that play a great part in the moral life. But this component is one that many of us ignore or, at least, underestimate through Kohlberg's moral education model.
I analyze Aristotle's views of virtue. Since virtue education draws quite heavily from Aristotle. the virtue of consists of practical reason, desire, emotion and habit. It sees virtue (or character) development as cognitive, but also as deeply involving the desire and emotion. It sees, too, the need for habit.
The habitation process may thus understood as a way of forming a virtue during adolescence.
And more balanced understanding of Aristotle's position, which integrated habitation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is suggested. we often think of habit as stereotypical behaviors acquired through repetition, and reinforcement. But Aristotle must have had enlarged sense of habit in mind. So I suggest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that employes elements from both the virtue education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s.
And I present how virtue education can do justice to the fusion of horizons with Kohlberg's perspective.
But, morality as a goal of moral education must be balanced and harmonized. Moral judgement, moral emotion and moral action work together. So we especially need the vision of Aristotle's integrated virtue education.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론과 덕교육적 관점을 통한 도덕교육적 접근이 갖는 좋은 함의를 발견해내려는 것이다. 6차 교육과정까지 우리나라의 도덕교육은 칸트주의적 패러다임의 합리주의적􍿞인지적 접근에 의해 추동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은 덕교육적 지향의 교육자들에 의해 비판되기 시작되었다. 덕교육론자들은 도덕적 행위자가 단지 지적이거나 합리적인 이성만을 가진 존재가 아니라 도덕적 삶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욕구와 정서 그리고 습관을 가진 존재임을 강조한다. 최근에 도덕교육의 주요한 논쟁은 바로 도덕적 사고를 강조하는 사람들과 도덕적 정서 및 행동을 강조하는 사람들 사이에 있는 논쟁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배후에는 콜버그로 대변되는 인지발달이론과 덕교육 내지 인격교육적 입장이 있다. 최근에 도덕교육의 한 방법으로서의 덕교육 혹은 인격교육은 아리스토텔레스로 대변되는 덕의 윤리학의 부활과 깊은 관련성이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와 연관된 덕교육적 관점은 실천이성과 욕구와의 관계, 정서와 인지􍿞욕구􍿞정서성과의 관계, 인지􍿞정서와 습관과의 관계 등을 통합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흔히 그의 도덕교육 전략이라고 일컬어지는 습관화의 과정도 스키너류의 행동주의적 덕교육에서 잘 나타나는바 기계적인 과정이 아니라 정서와 인지와 연관된 역동적인 과정이며 콜버그류의 발달론적 관점과도 통합될 수 있는 발달론적 전망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사고와 행동과의 간격을 메꾸는 데, 아리스토텔레스적인 덕윤리나 덕교육적 관점만큼 선명한 통찰을 주는 철학자가 없었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하며 상대적으로 이러한 면에서 약점을 보이는 다양한 제입장들을 비판함으로써 도덕교육의 구성에 있어서 아리스토텔레스적 덕론의 통찰이 도덕교육에 핵심적인 위치를 점유해야 할 이유를 제시하고자 한다. 도덕교육의 목표로서의 도덕성이 보다 균형잡혀지고 조화로워질려면 도덕적 판단과 정서 그리고 행동 등의 측면이 함께 작용하는 양상이 잘 보여야 하며 이런 점에서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통합적인 덕교육의 비전을 더욱 필요로 한다고 보여진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2. 도덕적 덕과 실천이성·욕구와의 관계
 3. 도덕적 덕과 정서·인지와의 관계
 4. 도덕적 덕과 습관과의 관계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용성 Choi, Young-Seong. 부산대학교 윤리교육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