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전 해석의 철학적 의의

원문정보

Eine philosophische Bedeutsamkeit der Interpretation der Klassik

오용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 in die alte und die neue Zeit, funktioniert die Klassik als das Schatzhaus der Weisheit und den Grund der sozialistischen Norm. Aber das ist so, insofern wie sie wirt interpretieren immer wieder.
Es ist die gebrauchliche Bedeutung der Interpretation, zu verstehen den Sinn der Ding auf eigenes logischen Standpunkt stehend. Daher ist das Interpretieren die Klassik das Verstehen den in der Klassik liegenden Sinn. Was ist der Sinn? Er ist der eine Rede oder eine Schrift zeigenden Inhalt: Vorstellung, Bedeutsamkeit, Absicht usw.. Weil der Sinn sehr kompliziert ist, tragen die Mißverstandnissen oft sich zu.
Wir mussen die Kunst des Verstehens fordern, wenn wir etwas mißverstehen. Es ist die gebrauchliche Bedeutung des Verstehens, zu erfassen den Sinn einer Rede und einer Schrift. Wenn der Ziel des Verstehens die Vermeidung des Mißverstandnis ist, mussen wir nicht Sinn an sich verstehen, sondern die in der Rede liegende Absicht des Sprecher. Aber es ist nicht so wichtig, daß wir die in der Klassik liegende Absicht ihreres Autor erfassen. Denn die Absicht selbst des Autor kann nicht als meine Weisheit und den Grund der gegenwartigen sozialistischen Norm funktionieren, wenn auch immer er damals der einsichtigeste Philosoph war. Darum wir mussen den anderen Weg um uberzugehen zur Welt der Klassik suchen. Ich denke daß dieser neue Weg nichts anderes als die Interpretation ist.
Das Interpretieren einen Text ist das Verstehen den Sinn des Textes auf eigenes logischen Standpunkt stehend. Hier ist Problematik die Parenthese ”auf eigenes logischen Standpunkt stehend“. Wir gebrauchen das Wort ”logisch“, wenn ein Denken in notwendiger Zusammenhang mit dem anderen Denken steht. Aber ein Denken kann sehr vielen Denken hervorbringen. Daher mussen wir eins von dieses vielen Denken auswahlen. Dieser Auswahl ist die Interpretation.
Interpretation als Auswahl ist auch das Produzieren einen neuen Text. Wenn wir einen Text produzieren wollen, mussen wir die Reden kontextmaßig koharieren. Darum bin ich als Interpret nicht das Subjekt der Interpretation. Ich muß mich dem der Text sich interpretierenden Werdegang uberlassen. Also es ist nicht wichtig, was will ich in der Intrepretation tun, sondern wer will ich werden zu. Dies ist die philosophische Bedeutsamkeit der Interpretation.

한국어

고전은 시대를 막론하고 지혜의 보고요 사회적 규범의 근거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고전은 그것이 항상 새롭게 해석되는 한에서 지혜의 보고요 사회적 규범의 근거일 수 있다. 따라서 우리에게는 해석이 중요하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해석(解釋)’이란 “사물의 뜻을 자신의 논리에 따라 풀어서 이해함”을 말한다. 따라서 ‘고전 해석’은 “고전에 담겨있는 뜻을 자신의 논리에 따라 풀어서 이해함”으로 된다. 여기서는 우선적으로 ‘뜻’이라는 용어가 문제된다. ‘뜻’ 혹은 ‘의미(意味)’란 “어떤 말이나 글이 나타내고 있는 내용”을 말한다. 그런데 여기에는 지시체(指示體), 의의(意義), 의지(意志) 혹은 의도(意圖) 등이 매우 복잡하게 얽혀있다. 이 때문에 종종 의미의 혼란이 일어난다. 그리고 이러한 의미의 혼란은 결국 ‘오해’를 야기시킨다.
오해의 상황은 이해의 기술을 요구한다. 여기서 말하는 ‘이해’의 의미는 “어떤 말이나 글의 의미를 깨쳐 앎”이다. 그러나 이해의 목표가 오해를 피하는 데 있다면, 이해란 말이나 글 자체의 의미를 깨쳐 아는 것이 아니라 말한 사람이나 글쓴 사람이 염두에 두고있는 의미를 깨쳐 아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우리에게는 고전의 저자들이 고전을 쓸 당시에 염두에 두고 있었던 의미들을 잘 파악하는 것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왜냐하면 고전의 저자들이 아무리 훌륭한 지혜의 소유자였다 하더라도, 또 그 지혜들이 그 당시에 아무리 완벽한 사회적 규범들로서 기능했다 하더라도 바로 그 것 자체가 오늘날 나의 삶의 지혜요 우리 시대의 사회적 규범으로서 기능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정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고전에서 나의 삶의 지혜와 오늘날 요구되는 새로운 사회적 규범의 근거를 찾고자 한다면, 우리는 고전에 대한 우리의 접근방식을 전적으로 바꾸지 않으면 안된다. 나는 이것을 ‘이해’가 아닌 ‘해석’에서 찾고자 한다.
‘해석’이란 “사물의 뜻(의미)을 자신의 논리에 따라 풀어서 이해함”을 말한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 해야 할 것은 “자신의 논리에 따라”라는 삽입구이다. 논리의 형식적인 타당성은 하나의 생각과 연결 되어 나타나는 다른 하나의 생각이 필연적인 관계를 갖느냐 그렇지 않느냐 하는 것에 달려있다. 그런데 하나의 생각에 뒤이어 필연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생각은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해석은 하나의 생각에 뒤이어 필연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무수한 다른 생각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일이다.
그렇지만 하나의 텍스트를 해석한다는 것은 다름 아니라 바로 그 텍스트를 소재로 하여 전혀 다른 새로운 하나의 텍스트를 생산하는 것이기도 하다. 텍스트를 생산하는 일은 말이나 글을 앞뒤의 콘텍스트(context, 맥락)에 따라 정합적으로 짜 나가는 일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다면 텍스트의 생산으로서의 해석은 해석자 자신의 마음에 떠오르는 여러가지의 의미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일이긴 하지만 그 선택은 자신의 개성에 따라 자의적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맥락에 따라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불가피하게 이루어질 경우도 있는 것이다. 이 점에서 나는 해석의 주체이면서도 동시에 주체가 아니다. 나는 해석되어지는대로 나 자신을 내맡길 수 있어야 한다. 즉 텍스트
의 해석을 통해서 내가 무엇을 하는가 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이 바로 해석의 철학적 중요성이다.

목차

요약문
 1. 서
 2. 이해
 3. 해석
 4. 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오용득 Oh, Yong deuk. 동아대학교 철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