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리학과 초월논리학 ― 칸트의 개념론과 판단론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llgemeine und Transzendentale Logik

박진

대동철학회 대동철학 제19집 2002.12 pp.161-187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ie Absicht der vorliegenden Abhandlung ist das Verhältnis von allgemeiner und transzendentaler Logik zu aufklären, und den wahrhaften Sinn der transzendentalen Logik Kants im historischen und systematischen Zusammenhang auszulegen.
Auf der einen Seite behauptet H. J. Paton, daß die allgemeine Logik den Vorrang hat, und auf der allgemeinen Logik die transzendentale Logik beruht. Auf der anderen Seite betont R. S. Laiez, daß im Hinblick auf Kants Begriff von Logik die fragliche Abhängigkeit wechselseitig ist.
Aber ich habe darauf hinzuweisen versucht, daß die transzendentale Logik die philosophische Begründung der allgemeinen Logik ist, und auf der transzendentalen Logik die allgemeine Logik beruht.
Um eine Annährung an den Kern dieses Verhältnis zu aufklären, habe ich vier Themen untersucht.
1. analytische Einheit und synthetische Einheit
2. analytische Merkmale und synthetische Merkmale
3. Urteil und Gegenstand
4. Kategorie und synthetische Einheit der Apperzeption

한국어

이 글은 일반논리학과 초월논리학의 관계 문제에 대한 고찰이다. 양자의 관계에 대해서는 칸트 해석자들 사이에 상이한 시각 차이가 있어왔다. 이는 칸트가 『비판』에서 양자의 관계를 단지 병렬적으로 서술하고 있을 뿐 명확한 관계해명을 수행하고 있지 못하다는 데도 기인한 것이다. 페이톤(H. Paton)은 한 논문에서 양자의 관계문제를 제기하고 형식논리학이 초월논리학의 근거가 된다고 해석했다. 한편 라이에즈(R. S. Laiez)는 양자가 상호의존적인 것으로 본다. 즉 "칸트의 논리학 개념에 있어서 의심스러운 상호의존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는 칸트가 전비판기와 비판기에 있어 동일률에 대한 이해에 흔들림을 보여주고 있고, 『비판』에서 양자를 병렬시켜 설명하는가 하면 범주표의 도출을 위한 실마리를 형식논리학의 판단표에서 차용하고 있는 등 양자의 관계를 일관되고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지 못하고 오히려 혼란을 야기할 소지를 남겼다는 점에서도 드러나며, 필자도 이 점을 부인하지 않는다. 그러나 여기서 필자가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주석이 아닌 해석의 문제요, 자구 그대로의 의미의 드러냄보다 비판적인 교정을 통한 올바른 이해의 시도다. 즉 단편적으로 서술된 내용보다 중요한 것은 초월논리학의 본래적 과제는 무엇이고, 그 과제에 비추어 볼 때 그것은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통찰이다. 필자가 보기에 초월논리학은 형식논리학에 의존하거나 병렬적인 또 하나의 논리학이 아니라 <논리학의 철학적 근거지움>으로서 간주되야 한다. 이에 대한 체계적 해명이 이 글의 과제다. 이를 위해 필자는 초월논리학에 대한 해석의 역사와 칸트의 문제의식을 개관하고 구체적으로 칸트의 개념론과 판단론을 중심으로 일반논리학과 초월논리학의 관계를 해명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문
 Ⅰ. 서론
 Ⅱ. 초월논리학에 대한 해석의 역사
 Ⅲ. 초월논리학의 문제의식
 Ⅳ. 일반논리학과 초월논리학의 관계
  1. 분석적 통일과 종합적 통일
  2. 분석적 징표와 종합적 징표
  3. 판단과 대상
  4. 범주와 통각의 종합적 통일
 Ⅴ. 맺음말
 참고문헌
 Zusammenfassung

저자정보

  • 박진 Park, Jin. 동의대학교 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